제인 쿰스(Jane Coombs) 뉴질랜드 대사는 4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사회건설을 위한 기업역할 세미나’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날 세미나의 첫 연설자로 나선 그는 지속발전 가능성과 연관 산업이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국가의 정체성과 리더십을 규정하는 중요한 영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질랜드의 '지속가능개발'이 대표적인 사례다. 천혜의 자연자원을 가진 뉴질랜드는 천연자원의 보존과 개발이 국가 존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 때문에 뉴질랜드 정부와 국민은 이미 1991년, 세계 최초로 지속가능한 자연, 자원 관리에 대한 개념을 ‘자원관리법’에 도입했다. 현재 입안 준비 중인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과 제도만 해도 170여개에 이른다.
쿰스 대사는 “뉴질랜드가 현재와 같은 ‘친환경 국가’ 이미지를 가지게 된 건 역대 정권을 비롯해 국민들이 자연자원과 관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꾸준히 관련 노력들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초 헬렌 클락 뉴질랜드 수상은 ‘지속 가능한 발전적 국가의 모델이 되자’는 하나의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갔다.
‘지속가능’이라는 용어는 환경적인 측면에서만 조명되기 쉽지만 오히려 경제, 사회, 문화적인 모든 정책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인식 덕분이다.
‘지속 발전 가능성’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관련 산업을 선점하는 것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믿음도 그 배경으로 작용했다.
올해만 해도 6개 부처가 탄소 중립을 위해 노력 중이며 2012년을 목표로 모든 공공부처들이 탄소 중립을 위한 계획을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 요소를 갖고 있는 임업 등의 산업을 장려하고 재생 에너지가 2025년까지 전체 전력 에너지량의 90%에 이르도록 하는 계획도 갖고 있다.
제인 쿰스 대사는 “이같은 제도나 법안 등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가적 노력 등이 인센티브 적용이나 규제 차원에서 이뤄질 수 있으나 기업 스스로 이같은 개념을 중요한 도전 과제로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성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비롯한 사회공헌 활동은 기업경영의 핵심 전략이자 경쟁력으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활동에 나선 대표적인 단체는 뉴질랜드 증권거래소(NZ Stock Exchange). 뉴질랜드 증권거래소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탄소 배출권 거래에서 5년 내에 선도적인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향후 5년간의 계획을 세워 준비 중이다.
뉴질랜드 항공사는 얼마전 천연 연료를 사용하는 최초의 상업 항공사가 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이같은 계획으로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은 여행객들에게도 소구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다.
이 날 세미나에는 도영심 UNWTO 스텝재단 이사장, 김명자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김수현 환경부 차관, 허동수 KBCSD(지속가능발전위원회) 회장, 이윤호 전경련 부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지속가능한 생계에 대한 기업의 도전과제와 전망','글로벌 기업의 역할'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