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난 그린스펀이 아니야"

머니투데이 김병근 기자 | 2007.08.30 18:38

WSJ, 금리인하 기대 높지만 정작 안할수도

"그린스펀 의장 시절의 통화 전략과 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하겠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이 임명 당시 한 말이다.

↑벤 버냉키 FRB 현 의장
전날 버냉키 의장이 찰스 슈머 상원의원에세 보낸 편지가 공개되면서 시장은 그의 공언(共言)이 공언(空言)이 아닐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 전날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가 1.9% 상승 마감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그린스펀 전 의장과 달리 버냉키 의장은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을 구분하고 있어 FRB가 실제 금리 인하를 단행할지 장담할 수 없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FRB는 역사적으로 두가지 주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첫째는 금융 안정 유지이며, 경기 침체를 초래하지 않는 선에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것이 둘째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시장의 신뢰와 경제 성장이 서로 밀접하게 연간돼 있다는 전제로 이 둘을 동일시했다. 1987년 증시 급락과 1998년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사태가 이를 증명한다.

↑앨런 그린스펀 FRB 전 의장
당시 그린스펀 전 의장은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우려해 투자를 꺼리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리를 7.25%에서 6.75%로 0.5%포인트 인하하며 금융기관에 유동성을 공급했다.

그는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기존에 체결된 각종 금융거래가 차질없이 성사되는 것을 무엇보다 우선시했다.


버냉키 의장은 대조적이다. 그는 금융 안정과 경제 성장을 별개의 개체로 구분한다. 이는 지난 17일 기준금리 인하 대신 재할인율 인하 카드를 꺼내든 데서 알 수 있다.

그는 대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할인율을 인하하고 은행들의 상환 기간을 연장했다. 그럼으로써 은행들이 대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는 분명 경제 성장이 아닌 신용 시장의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초점을 둔 조치였다.

알란 블린더 전 FRB 부의장은 "버냉키 의장은 통화 정책의 주요 수단인 기준 금리를 사용하는 것과 시장의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 재할인율을 낮추는 것 사이에 분명한 경계선을 그었다"고 평가했다.

결국 버냉키 의장이 실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지는 뚜껑이 열려봐야 알 수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자산관리 전문회사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는 "FRB는 시장이 진정 원하는 때가 되어서야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3. 3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4. 4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