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보건복지분야 주요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연금개혁안에는 △모수 개혁(보험료율13%·소득대체율42%), 기금수익률 제고(4.5 → 5.5%), 자동조정장치 도입 등 지속가능성 확보 △세대별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과 지급보장 명문화를 통한 세대 간 형평성 제고 △국민·기초·퇴직·개인연금까지 포함한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안이 포함됐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국민연금 기금은 1140조원으로, 현 정부 출범 직후인 2022년 5월 890조원 대비 약 250조원 늘었다.
저출생 대응과 관련해선 △부모 급여 도입·지원금 인상(0세 70만원·1세 35만 원→0세 100만원·1세 50만 원) △2세 미만 입원진료 본인부담 무료화(5%→0%) △출생순위에 따른 첫만남이용권 지원금 인상 등이 성과로 꼽혔다. 7월과 8월 출생아 수는 전년 동월 대비 두 달 연속 출생아 증가세(각각 7.9%, 5.9%)를 보였고, 9월에 조사된 기혼·무자녀 출산 의향도 기존 대비 8.3%p 상승, 향후 출산율 반전의 가능성을 보였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 차관은 "내년부터는 가임기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평생 3회 지원할 것이고 난임시술의 필수적인 비급여 약제에 대해서도 건강보험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며 "전년 동월 대비 올해는 7월 1516명, 8월 1124명으로 출생아가 증가했다. 출산율 반등이 지속될 수 있도록 출산과 양육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3년 연속 기준중위소득 역대 최고 인상(2023년 5.47%, 2024년 6.09%, 2025년 6.42%) △7년 만에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30%→32%)으로 약자 복지를 강화했다고도 전했다. 생계급여 수급자 수는 2022년 152만명에서 2024년 168만명으로 급증했다. 정부는 임기 내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기준중위소득의 35%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외에도 △장애인 일자리 매년 2000개 추가 △노인 일자리 보수 7% 인상·일자리 수 103만개로 확대(내년 110만개 제공) △출생통보제·보호출산제도 시행 등이 주요 복지 성과로 지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