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 추이/그래픽=이지혜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4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수는 전년동월 대비 8만3000명 증가한 2884만7000명이다. 취업자수 증가폭이 한 자릿수를 기록한 건 지난 6월(9만6000명) 이후 4개월 만이다. 고용률의 분모 역할을 하는 취업자수는 대표적인 고용지표 중 하나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60세 이상(25만 7000명), 30대(6만7000명) 등에서 각각 증가했다. 60세 이상은 이른바 '노노(老老) 케어' 등의 영향으로 취업자수가 계속 늘고 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취업자수가 지난달 9만7000명(3.3%) 증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지난달 20대 취업자수는 17만5000명 감소했다.
지난달 '쉬었음' 인구는 244만5000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9.2%(20만7000명) 늘었다. 이는 10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청년층(15~29세) '쉬었음' 인구도 41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3%(5만2000명) 늘며 2020년 10월 이후 10월 기준 가장 많았다. 30대의 '쉬었음' 인구 역시 17.9%(4만7000명) 늘어난 31만명이다.
연령계층별 '쉬었음' 인구/그래픽=이지혜
이 시각 인기 뉴스
청년층 '쉬었음' 늘어난 이유는통상 비경제활동인구의 상당수는 가사와 재학 등의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다. 육아와 연로, 심신장애 등도 비경제활동의 이유다. 이런 이유가 아닌 그냥 쉬는게 '쉬었음'이다. 무엇보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특별한 이유 없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데다 취업을 준비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고용지표에서 중요하게 본다.
정부도 청년층 '쉬었음' 인구에 주목한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채용시장이 수시·경력 채용 중심으로 바뀌자 일시적 '쉬었음'으로 편입된 인구가 늘었다고 밝혔다. 일자리에 어려움을 겪는 실업자와 취업준비, '쉬었음'을 합한 비중이 2023년보다 상승했지만 예년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즉, 과거에는 취업준비라고 답했던 인구가 채용시장의 변화로 '쉬었음'이라고 응답했을 뿐 이를 합한 비중은 큰 차이가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하지만 통계청의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쉬었음' 청년층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30.8%), '일자리가 없어서'(9.9%) 등의 이유로 쉬었다고 응답했다. 채용시장의 변화보다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없어서 일시적이지 않은 이유로 취업준비를 포기했다는 것으로도 읽힌다.
기재부 관계자는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는 건 미스매치를 말하는 것일텐데, 이 역시도 구직 의사는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