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NH·삼성-ESG최상위 증권사들…LS증권·유진증권 등 최악평가

머니투데이 김진석 기자, 김창현 기자 2024.11.11 14:59
글자크기

ESG 앞서가는 대형 증권사…중소형사는 아직 '뒷전'

2024년 국내 주요 증권사 ESG 등급 현황/그래픽=최헌정 기자2024년 국내 주요 증권사 ESG 등급 현황/그래픽=최헌정 기자


수년간 노력해 온 증권사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가 점점 구체화하고 있다. 특히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이 명확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일부 중소형사들은 여전히 미진한 ESG 성과를 내며 뒤처지고 있다. 대형사 대비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의 경우 ESG 경영의 효율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해, 기업 성장 자체에 더 우선순위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ESG기준원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 중 올해 ESG 통합 등급 'A'를 받은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 (9,000원 ▲890 +10.97%), NH투자증권 (13,100원 ▼100 -0.76%), 삼성증권 (44,450원 ▲50 +0.11%), 한화투자증권 (3,740원 ▼100 -2.60%) 총 4곳이다. 이 중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은 지난해에 이어 A 등급을 유지했고, 삼성증권은 'B+'에서 상향됐다. 증권업종 특성상 타 업종 대비 평균 등급이 낮은 걸 감안하면 A는 최상위 수준으로 평가된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환경 부문에서 'A+'을 달성했다. 미래에셋증권은 금융권 최초로 RE100(재생에너지 사용 100%)을 선언했으며,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구매와 가상 전력 구매 계약(VPPA)을 통해 3분기 계약기준 58.4%의 전환 실적을 기록했다.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는 글로벌 기준 컴플라이언스를 강화하고자 개인정보보호 국제 표준인 'ISO27701 인증'을 취득했다.

NH투자증권은 최근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의 리드 그룹에 선정되기도 했다. UNGC는 전 세계 167개국 2만5000여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의 자발적 기업 시민 이니셔티브로, 국내에서는 380여개의 회원사가 활동 중이다. UNGC는 NH투자증권이 기후변화 대응 및 사회적 책임 경영 노력을 펼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증권은 환경 부문에서 A+, 사회 부문에서 A, 지배구조에서 B+ 등급을 받으며 통합 A 등급으로 올라섰다. 중소형 증권사 중에서는 한화투자증권이 유일하게 A 등급을 기록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기후변화가 기업 재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공개하는 기후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태스크포스(TCFD) 공시 체계 구축을 통해 환경정보 공개를 강화하기도 했다.

 여의도 증권가/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여의도 증권가/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ESG 경영 평가에서는 대체로 대형 증권사들이 앞서고 있는 모습이다. B+ 등급을 받은 증권사는 키움증권 (129,900원 ▲8,000 +6.56%), 대신증권 (16,510원 ▲220 +1.35%), SK증권 (493원 ▲5 +1.02%), 교보증권 (5,140원 ▲30 +0.59%), 다올투자증권 (2,555원 ▲35 +1.39%) 등이다. B+ 등급의 증권사들은 대부분 지난해와 동일한 등급을 유지했다. 현대차증권 (8,540원 ▲120 +1.43%)은 지난해 A 등급을 부여받았으나, 올해 B+ 등급으로 강등됐다. 사회 부문에서 지난해보다 악화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등급인 'C'를 받은 증권사는 LS증권 (4,095원 ▼5 -0.12%), 유진투자증권 (3,105원 ▼390 -11.16%), 상상인증권 (429원 ▼8 -1.83%) 등이다. LS증권은 지배구조 부문에서 B를 달성했지만, 환경과 사회 부문이 각각 D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베스트투자증권 당시와 비교해 개선된 부문이 없다. 유진투자증권은 B등급에서 C로 주저앉았다. 사회 부문(B→D)이 두 단계 강등된 영향이다. 상상인증권은 지난해 D에서 올해 C로 올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증권사들의 ESG 경영이 전반적으로 고도화되고 있지만, 중소형사들의 개선 속도가 비교적 느린 이유로는 미약한 자본력과 성장에 초점을 둔 기업 경영 방식이 지적된다. ESG 섹터 담당 애널리스트는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증권사들도 ESG를 하려면 자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ESG는 아직 먼 얘기, 그보다 앞서 돈을 더 버는 게 중요한 상황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ESG 인센티브 효과가 대형사에 더 중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국민연금의 거래 증권사 선정 등이 대표적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ESG를 해도 인센티브 효과가 크지 않을 증권사는 ESG 경영을 굳이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며 "국민연금은 책임 투자 아웃소싱할 때 선정 기준에 ESG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데 이 때문에 대형사들이 인센티브를 더 받아 가는 구조가 뚜렷해질 수 있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