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KDI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1일 발표한 '최근 물가 변동 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예컨대 기준금리가 1%p(포인트) 하락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물가상승률이 3분기 후 최대 0.2%p 상승한 뒤 2년여간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정부지출이 GDP(국내총생산) 대비 1%p 증가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물가상승률이 해당 분기에 최대 0.2%p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파급 영향은 1년여로 통화정책에 비해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2022년 이후 누적된 고금리 정책이 최근 물가를 -0.8%p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KDI 측 분석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선주 KDI 연구위원은 "고금리 정책이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 최근까지도 3% 내외의 고물가가 지속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각 인기 뉴스
KDI는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하지 못한 추가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소득,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 등 비정책 수요 요인의 시차효과가 궁극적으로 0으로 수렴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이에 맞춰 거시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먼저 통화정책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를 하회하는 현상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긴축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반대로 재정정책은 이미 확대된 재정지출 수준을 감안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지출(정부 소비+정부 투자)이 코로나19(COVID-19) 위기 대응과정에서 급격히 확대된 이후 지금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황 연구위원은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물가 이외에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결정하기 때문에 물가에 대한 영향만을 근거로 기준금리 인하의 크기나 시점을 구체화해 말하긴 어렵다"면서도 "다만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인 물가를 근거로 평가했을 때는 (통화정책을) 완화적 방향으로 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