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타 팜비치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6일 (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선 행사의 무대에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오르고 있다. 2024.11.07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웨스타 팜비치 AFP=뉴스1) 우동명 기자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가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 소식을 접한 직후다. 그는 지난 수년 동안 미국의 제재로 중국 반도체 산업 발전이 비교적 늦어졌고,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이런 흐름이 더 강해질 수 있다고 봤다.
놀랍게도 중국은 버텨냈다. 버텨냈다는 표현이 어색할 만큼 괄목할 성장을 이뤘다. D램 시장에선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 낸드플래시 시장에선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YMTC)가 급격하게 점유율을 늘렸다. '메모리 최강자'로 군림해 온 한국 기업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두 기업이 언급했듯 중국 기업은 아직 레거시 제품 중심이다. 고부가 제품에선 우리 기업과 여전히 격차가 크다. 중국 반도체 기업은 내수 시장 기반이라는 한계도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는 것이 반도체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EUV 노광장비와 같은 첨단 장비 수출 통제가 없었다면 레거시뿐 아니라 고부가 제품 시장에서도 빠르게 따라 왔을 것이다. "아찔하다"는 반도체 업계 관계자 말이 공감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중국 제재 강화가 예상되는 트럼프의 재집권은 우리 반도체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업계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을 축소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중국 제재 강화로 우리 기업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물론 미국의 어떤 제재에도 중국의 추격은 계속될 것이다. 미국의 제재는 그 속도를 늦출 수는 있지만 멈추게 할 수는 없다. 결국 우리 기업이 얼마나 고부가 반도체 개발·양산에 공을 들여 기술 격차를 벌려 놓느냐가 관건이다.
이 시각 인기 뉴스
잊지 말아야 할 당연한 사실은 미국의 중국 제재가 결코 한국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 기업이 받는 반사이익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자칫 미국이나 미국기업의 이해와 상충한다면 언제든 미국으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미국과 '반도체 동맹' 강화 필요성이 거론되는 이유다. 이런 리스크는 기업 혼자서 해소할 수 없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