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6일 (현지시간) 워싱턴의 하워드대학교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패배를 인정하는 연설을 하기 위해 도착을 하고 있다. 2024.11.07 /AFPBBNews=뉴스1
특히 "우리집 재정상태가 4년 전보다 더 안 좋아졌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50%에 달했다. 4년 전만 해도 응답자의 20%만이 재정 상황이 악화했다고 대답했는데 그 수치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
[워싱턴=AP/뉴시스] 6일(현지시각)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모교인 워싱턴 소재 하워드 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린 민주당 선거 개표 시청 행사 참석자들이 행사장을 떠나고 있다. 2024.11.06.
뉴욕타임스(NYT)는 미시간주에서 재선에 성공한 민주당 상원의원 힐러리 숄튼과의 인터뷰로 이같은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숄튼 의원은 "우리는 데이터에 너무 빠져서 미국 국민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충분히 듣지 못했다"며 "4명의 자녀를 둔 직장인 엄마에게 GDP가 좋다. 경제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고 말하려고 하면, 그녀는 '여기서 나가. 당신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든과 결별을 선택하지 못한 해리스
(워싱턴 AFP=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피닉스 어워즈 만찬서 무대에 올라 손을 맞잡아 들고 있다. 2024.09.16 /AFPBBNews=뉴스1
이 시각 인기 뉴스
대표적으로 10월 초 해리스가 ABC방송과 했던 인터뷰다. 앵커는 해리스에게 "지난 4년을 돌아보면서, 바이든과 다르게 무엇을 했을 것 같냐"고 질문했다. 하지만 해리스는 "생각나는 게 아무것도 없다"면서 "(바이든의) 대부분 결정에 나도 한 부분이었다"고 답했다. 그러다 해리스는 조금 부족한 대답이라는 걸 깨달았는지 "대통령이 된다면 내각에 공화당원을 포함하겠다"고 수습에 나섰다.
CNN은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 해리스는 의견 차이가 있었다고 해도 그걸 공개적으로 밝히려 하지 않았다"며 "예컨대 해리스는 더 높은 자본이득세율, 더 큰 자녀 세액 공제, 더 엄격한 국경정책을 원했지만, 그걸 말하는 순간 자신을 부통령으로 만들어준 동시에 현재 대선후보 자리를 양보한 바이든에 불충해보일 거라는 점을 의식한 듯했다"고 민주당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는 "해리스가 지난 4년 동안 바이든과의 관계 청산에 쭈뼛거렸다"며 "바이든의 유령을 묻어두지 못한 탓에 유권자들은 해리스를 '다음 지도자'라고 충분히 받아들이지 못한 것"이라고 짚었다. 해리스 캠프는 바이든 행정부를 충분히 계승하는 것도, 완전히 외면하는 것도 아닌 상태에서 번번이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민주당보다 더 '국민'의 걱정을 반영한 트럼프
(웨스트 팜비치 AFP=뉴스1) =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6일 (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선 행사에 참석을 하고 있다. 2024.11.07 /AFPBBNews=뉴스1
가디언은 "민주당은 유권자들에게 '잘못 생각하고 있다', '그게 아니다', '이게 맞다'는 식의 태도를 버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지지율이 많이 나오는 것도 마치 미국 사람들이 민주주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는 것처럼 여겼고, 라틴계 사람들은 인종 평등을 수호하는 민주당을 당연히 지지해야 하며, 흑인 남성은 흑인 여성을 지지해야지 백인 남성을 지지하면 마치 어리석은 짓인 것처럼 치부해 왔다고 가디언은 비판했다.
때문에 핵심 경합지였던 펜실베이니아에선 민주당 전략가들과 공무원은 "인플레이션이나 가계소득, 재정상황 등에 더 관심이 있는 유권자들에게 관련성 없는 문제를 나열하며 초첨을 잘못 맞춘 것 같다는 인식에 실망감이 터져나왔다"고 전했다.
NYT도 "해리스는 유권자들에게 민주주의를 보호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들어주지 않았다"며 "왜냐면 200건이 넘는 인터뷰 내내 유권자들은 위기에 처한 국가보다 위기에 처한 내 생활비를 더 걱정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과 노동 계층에 적극적으로 다가갔다"며 "선거기간동안 그는 문화적 규범과 기술 발전으로 소외감을 느낀 남성, 노인, 소수 민족에게도 어느정도 호소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결국 해리스가 '우리는 돌아가지 않을 거야(not going back)'라는 슬로건까지 내걸며 트럼프를 찍으면 안 된다고 말하는 순간, 미국 대선판은 트럼프에 대한 찬성과 반대라는 두 가지 캠페인이 됐다. 해리스가 스스로 선택지에서 이름을 지운 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