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연구소 장보형 선임연구위원
산업정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대부분 제조업의 부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래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 제조업에 기반한 산업화가 필수였고, 안정적 일자리나 소득원 측면에서도 제조업 육성에 대한 향수가 크다. 게다가 국제 교역재로서 공산품은 각국의 이해타산에 따른 보호주의나 통상 마찰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 경제안보 차원에서 제조업의 보호와 관리는 중요한 과제다.
이처럼 제조업은 생산이나 부가가치 및 고용창출 효력에서 서비스 부문에 크게 밀린다. 자동화 등과 같은 노동절약적 기술혁신, 또 글로벌 차원의 경쟁 심화 등이 배경이다. 이미 제조업 분야는 그동안 중국이 '글로벌 제조업 머신'으로 부상하면서 더 이상 좋은 기회가 별로 남아 있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즉, 세상은 중국과 같은 '제조업 거인' 2곳을 허용할 여유가 없다. 또 다른 중국을 꿈꾸는 인도 등의 신흥 강국은 물론 미국 등 서구의 제조업 육성에도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서비스 성장에 순기능만 수반된 것은 아니다. 서비스 부문에는 양질의 일자리나 소득 안정 등의 기준으로 여전히 취약한 직종이 많다. 하지만 그 대안이 제조업일 이유는 없다. 오히려 서비스의 부가가치와 질적 수준, 또 근로 여건 등을 제고하기 위해 보다 많은 혁신이 필요하다. 특히 금융, 정보기술통신, 각종 사업서비스 등의 이른바 '현대 서비스'(modern service)는 세계적으로도 기회가 여전히 많다.
서비스가 우리에게 산업정책, 곧 생산적인 경제발전 정책의 핵심이었던 적은 거의 없다. 이제 제조업 특권화에서 벗어나 좋은 산업, 일자리는 모두 존중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