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청정수소 입찰', SK·한화·두산 등 검토…일부는 '관망세'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2024.11.07 06:33
글자크기
SK그룹이 10월1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진행된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를 통해 공개한 그린 비즈니스 시티 /사진=최경민 기자 SK그룹이 10월1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진행된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를 통해 공개한 그린 비즈니스 시티 /사진=최경민 기자


SK·한화·두산 등의 수소 사업 계열사들이 첫 청정수소 발전시장 입찰 참여 여부를 막판까지 검토하고 있다. 일부 에너지 기업들은 가격·인프라 등 측면에서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관망'을 택하기도 한다.

5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 입찰' 지원이 오는 8일까지 이어진다. 입찰물량은 6500GWh(기가와트시)로, 계약기간은 15년이다. 낙찰된 기업은 준비기간 3년을 거쳐 오는 2028년까지 청정수소 발전사업을 개시해야 한다.



SK E&S, 한화임팩트를 비롯해 남부·남동·동서·중부발전 등이 입찰 참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SK E&S는 호주 바로사 가스전 '저탄소 LNG(액화천연가스)'를 국내로 들여와 탄소포집을 통해 블루수소로 만들고, 이를 발전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임팩트는 한화파워시스템과 실증 사업을 통해 개발한 수소터빈을 적용하는 방식을 앞세운다.

국내 유력 수소연료전지 사업자인 두산퓨얼셀의 경우 일부 발전기업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청정수소 입찰에 응하는 방식을 구상 중이다. 롯데케미칼의 경우 직접 입찰을 하진 않지만, 복수의 발전소에 청정수소를 공급하는 방식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입찰 마감일까지 눈치싸움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발전단가인 가격지표를 비롯해 청정수소 활용 등급(4개 등급), 연료 도입의 안정성, 산업·경제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낙찰자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발전단가 가격 등의 '비공개 상한선'을 둔 것으로 알려지자, 어느 수준의 가격을 책정할 지 여부가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청정수소에 해당하는 그린·블루수소의 가격은 여타 에너지원 대비 여전히 비싼 수준"이라며 "한 번 청정수소 사업자로 선정되면 15년 동안 그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선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화임팩트 대산사업장 내 위치한 수소터빈 실증 현장/사진제공=한화임팩트한화임팩트 대산사업장 내 위치한 수소터빈 실증 현장/사진제공=한화임팩트
첫 청정수소 발전시장 입찰이라는 큰 이벤트가 열렸음에도 에너지 업계가 의외로 차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대기업들이 참여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년 이후 입찰 시장을 보다 중시하는 분위기가 강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올해 입찰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본 후, 보다 불확실성이 떨어진 타이밍에 참여하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비싼 청정수소 가격 △부족한 블루·그린수소 인프라 △발전소 가동률 보장 여부의 불확실성 △글로벌 불황 속 수소 사업 속도조절 기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낙찰이 되더라도 비싸게 들여온 청정수소를 제대로 활용도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에너지 업계에 깔려있는 상황으로 해석된다.


한 에너지 기업 관계자는 "청정수소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 보단 당장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존 에너지 기반 사업을 하자는 말이 많이 나온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각종 우려에도 불구하고 수소 사업을 준비해온 기업들에겐 큰 기회"라며 "다소 부족해도 청정수소 기반 발전이 본격적으로 돌아가기 시작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