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에도 男·女 차이…"남성 자폐 환자, 증세 더 심각"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2024.10.27 12:00
글자크기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분당서울대병원·IBS·美 위스콘신메디슨대 공동연구팀

성별 특이적인 자폐 연관 유전자 네트워크의 모식도 /사진=한국연구재단성별 특이적인 자폐 연관 유전자 네트워크의 모식도 /사진=한국연구재단


남성의 자폐증 발병률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는 이유를 밝힐 수 있게 됐다. 국내 연구팀이 성별에 따라 자폐 연관 유전자가 다르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대규모 집단 연구를 통해 최근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준용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가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 도나 윌링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 교수와 공동으로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자폐 연관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게놈 메디신'에 지난달 27일 게재됐다.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언어 표현,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는 발달 장애 증상 중 하나다. 3세 이전부터 증상의 조짐이 서서히 드러난다. 특히 자폐증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4배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한 바는 없다. 지금까지 이뤄진 자폐증 연구도 유럽 인종을 대상으로 했을 뿐 동아시아인이 대상이었던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자폐 가족 코호트를 구성, 이들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했다. '코호트'는 통계상 동일한 인자를 공유하는 집단을 말한다. 또 '전장 유전체'는 종별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NA의 집합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여성 특이적 자폐 유전자 40개와 남성 특이적 자폐 유전자 403개를 찾았다. 분석 결과, 여성 자폐 유전자는 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데 핵심 요소인 염색질과 히스톤에 영향을 주는 반면, 남성 유전자는 신경세포 간의 소통을 주관하는 시냅스에 영향을 줬다.

또 한국인 코호트를 집중적으로 확인한 결과 자폐성 장애를 가진 여성 가족 구성원은 '양적 유전점수'로만 보면 남성 가족 구성원보다 유전에 의한 자폐가 발현될 확률이 높았다. 하지만 자폐 주요 증상은 남성에게서 오히려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지 및 적응 능력도 여성에 비해 더 손상됐다.

연구팀은 "여성이 남성보다 자폐 유전적 요소에 더 낮은 유전적 민감도를 갖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적 민감도는 유전적 요소에 의해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의 정도를 뜻한다.


연구를 이끈 안 교수는 이번 연구가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인 성차 의학의 기틀을 마련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자폐와 같은 신경 발달장애를 정밀하게 진단하기 위해선 성별과 임상적 특징을 모두 고려한 포괄적인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