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바람타고 유럽 향하는 식품기업...통관 리스크 주의보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4.10.22 17:01
글자크기
자료사진/'시알파리(Sial Paris)'에 참가한 국내 식품기업 부스에 외국인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자료사진/'시알파리(Sial Paris)'에 참가한 국내 식품기업 부스에 외국인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K푸드 인기를 발판 삼아 국내 식품기업들이 그동안 불모지로 여겨졌던 유럽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 3대 식품박람회로 꼽히는 '시알 파리(Sial Paris)'에 국내 식품기업들이 대거 참가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유럽은 다른 대륙에 비해 식품규제가 까다로워 통관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3일까지 진행되는 유럽 최대 식품박람회 '시알 파리'에 참가한 국내 식품기업은 모두 116개로 역대 최대 규모다. 롯데웰푸드, 대상, 오뚜기, 풀무원, 빙그레, 매일유업, 아워홈, 샘표 등 대형사를 비롯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운영하는 한국관에 75개사 등 중소기업들도 대거 참여했다.



'시알 파리'는 전 세계 식품 산업의 트렌드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행사이자 자사 제품을 유럽의 주요 바이어들과 연결하는 기회다. 특히 유럽은 그동안 국내 식품기업이 개척하지 못한 신흥시장이라는 점에서 매력이 있다.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신규 진출에 최적기라는 게 기업들의 판단이다.

하지만 유럽 시장 진출이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유럽은 전 세계에서 식품 규제가 가장 엄격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공통적으로 유럽은 일반 식품법 규정을 준수해야 하는데 원료의 추적성이 관건이다. 제품 생산부터 소비까지 식품의 출처와 이동경로를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근거가 있어야 한다. 규정을 위반할 경우 통관 거부나 회수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국가별 식품규제도 준수해야 한다. 일례로 영국은 글루텐, 유제품, 견과류 등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민감하다. 반드시 라벨에 표시해야 한다. 프랑스는 유전자변형식품(GMO)에 강력한 규제를 적용하는 국가다. 또 포장재 환경규제도 강화 추세다. 독일은 식품 제조과정에서 위생관리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이탈리아는 우리의 '원산지 표시제' 같은 제도를 통해 자국 전통식품을 보호한다. 스페인은 해산물과 농산물 수입규제가 까다롭고 벨기에는 라벨 규정이 엄격하다.

일례로 2022년 유럽에서 라면의 인체유해물질 논란이 커지면서 농심, 삼양식품, 팔도의 유럽 수출물량이 통관을 거부당해 발이 묶이는 상황이 발생했다. 라면 수입품에 발암물질인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에 관한 증명서를 첨부하도록 지시했는데 이를 뒤늦게 파악해서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K푸드의 불을 지핀 삼양식품의 붉닭볶음면의 경우 덴마크 정부는 캡사이신 함량이 너무 많다며 리콜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이보다 앞선 2014년에는 CJ제일제당, 농심, 삼양식품이 GMO 원료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튀르키예 세관으로부터 통관을 거부당하는 일도 있었다.

실제로 농식품 수출의 통관거부 사례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농식품수출정보(KaTi)에 따르면 상반기 통관거부 건수는 166건으로 지난해 대비 6건이 증가했다. 이중 유럽의 거부 건수는 4건에 불과하지만 그동안 교역이 미미한 영향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식품업계는 유럽 진출이 증가하는 만큼 통관 과정에서 발목 잡히는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미개척지인 유럽에 대한 국내 식품기업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규진출 품목이 늘어나고 있다"면서도 "성분 부적합부터 라벨링, 포장 등 현지기준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