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지는 친환경 시장…"풍력산업 육상·해상 나눠 봐라"

머니투데이 천현정 기자, 김진석 기자 2024.10.18 15:33
글자크기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 허재준 삼성증권 선임연구원

허재준 삼성증권 선임연구원이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풍력 산업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허재준 삼성증권 선임연구원이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풍력 산업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


"한국과 대만처럼 육지가 제한적인 국가의 입장에서는 기후 위기 시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해상 풍력이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효과에 주목할 시기입니다."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그린비즈니스위크 2024 셋째 날 허재준 삼성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풍력 산업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허 연구원은 "풍력 프로젝트는 대규모 자금이 필요해 금리 상승이 이자율 상승과 수익률 악화로 이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금리 문제가 해소되고 주요 원재료 가격이 안정화되며 거시 경제 환경이 풍력 산업에 유리한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풍력 발전 수요에 힘입어 설치량도 증가세다. 허 연구원은 "지난해까지 고물가·고금리로 풍력 프로젝트에 비우호적인 거시 환경이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풍력발전 설치량은 2022년 대비 2023년에 50% 증가했다"며 "누적 설치량 기준으로는 2023년이 1TW(테라와트)를 넘어선 첫해였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산하의 에너지 리서치 기관인 BNEF(Bloomberg New Energy Finance)도 올해 글로벌 풍력발전 설치량이 지난해 대비 5.7% 증가한 124.1GW(기가와트)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풍력 신규 설치량의 60%가 중국에서 발생한 만큼 현재 중국 비중이 높은데, BNEF에 따르면 2025년에는 중국을 제외한 비중국 국가의 설치량도 전년 대비 25% 증가하며 급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다만 올해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의 결과에 따라 해상 풍력 발전의 확산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허 연구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상 풍력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각종 행정명령 등으로 인허가나 설치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풍력발전은 발전이 이뤄지는 장소에 따라서 크게 육상풍력과 해상풍력으로 구분되는데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해상 풍력에 비해 육상 풍력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허 연구원은 "2023년 기준 육상풍력이 미국 전체 전력 생산량의 10% 수준으로 상당 부분을 풍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면서도 "2022년 기준 미국에서 풍력 발전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상위 4개 주가 공화당 우세 지역이며, 육상 풍력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의 약 70%가 공화당 우세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어 육상 풍력 발전을 중단하거나 신규 설치를 제한할 경우 공화당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 풍력 산업의 잠재력이 높지만, 설치 속도가 느린 편으로 전력 관련 법안들의 통과가 산업 발전의 선결 조건으로 꼽힌다. 허 연구원은 "BNEF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 주민 수용성, 그리드 연결 문제 등을 한국 해상 풍력 산업의 성장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며 "'해상풍력보급활성화특별법',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 등 전력 관련 법안들의 통과가 중요하다며 22대 국회에서 여야를 나누지 않고 해상풍력 특별법을 논의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