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감염 취약한 '극소 미숙아', 항생제 미리 투여 시 득실 따져보니

머니투데이 정심교 기자 2024.10.17 09:25
글자크기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연구팀 "꼭 필요할 때만 써야"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몸무게 1.5㎏ 미만으로 태어난 '극소 미숙아'는 대개 면역 체계가 불완전한 탓에 세균 감염에 취약한 편이다. 이 때문에 조산·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엄마에게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갓 태어난 아기에게 항생제를 쓰기도 한다. 이를 '예방적 항생제' 투여라고 한다.

문제는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산모에게는 항생제 내성을, 아기에게는 여기에 더해 괴사성 장염, 신경발달 장애 등 역효과를 걱정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모에게서 신생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와 신생아 감염의 고위험군에 대한 분석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선택에 대한 득실을 따지는 데 도움을 주는 연구로, 필요한 경우에만 항생제를 쓰도록 하는 데 보탬이 될 전망이다. 기존엔 혹시 모를 신생아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생제를 광범위하게 투여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앞으로는 '아기에게 이로운 경우에만' 항생제를 쓰도록 가려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연구팀은 2013~2020년 병원균이 발견된 산모에게서 태어난 극소 미숙아 173명을 감염 그룹(45명)과 미감염 그룹(128명)으로 나누어 감염 주요 경로와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을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산모의 혈액·소변·질에서 채취한 병원균을 확인했더니 대장균이 30.6%로 가장 흔했고, 칸디다균(29.5%), B군 연쇄상구균(16.8%), 클렙시에라균(12.1%), 엔테로코커스균(11.6%) 순으로 많았다.

아기들도 동일하게 대장균(35.6%)에 가장 많이 전염됐고, 칸디다균(20.0%), B군 연쇄상구균(15.6%), 엔테로코커스균(15.6%), 클렙시에라균(8.9%) 순으로 병원균이 검출됐다.

산모의 '질'은 가장 흔한 감염 경로였다. 대장균에 감염된 극소 미숙아의 30.2%는 출산 시 산모의 질을 통해 감염됐다. 산모의 혈액에서 대장균이 검출됐을 때는 아기에게 100%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극소 미숙아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요법의 득실을 연구한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연구팀. /사진=삼성서울병원극소 미숙아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요법의 득실을 연구한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연구팀. /사진=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또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도 분석했다. 그 결과 산모의 경우에는 백혈구 수치가 높거나 융모양막염,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이 있을 때 아기에게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의 경우 혈액 내 수치가 1만5000/μL를 초과한 경우에는 아기 전파 위험이 2.62배 상승했다. 태반의 융모막·양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융모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10.54배나 올랐다. 조산을 막으려 출산 전 자궁경부를 실로 묶는 결찰술을 했을 때도 4.44배까지 감염 전파 위험이 컸다.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균 전달이 된 그룹은 균 전달이 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3배, 뇌실내출혈 발생률은 6배 웃돌았다.

이를 토대로 산모의 출산 전 과거력상, 양막이 조기 파열되거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해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권고했다.

또 극소 미숙아의 경우에도 출생 후 세균 배양검사나 염증 반응 등을 확인하고 신중하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윤실·안소윤 교수는 "산모에서 극소 미숙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를 분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항생제 남용을 막고 꼭 필요할 경우에 항생제를 써서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데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