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최측근' 김대기 대사 임명에 아직 조용한 중국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2024.10.15 11:02
글자크기

이전과 달리 한국언론 인용 짤막하게 보도…냉랭한 한중관계 반영된 반응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


김대기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새 주중 한국대사(중국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된 가운데 중국은 제한적인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한중관계 개선을 원하는 한국의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오지만, 멀어진 양국이 가까워질거란 기대감은 일단 크지 않아 보인다.

김 전 실장 임명 이튿날인 15일 중국 언론은 각기 윤석열 대통령의 김 전 실장 주중대사 임명 소식을 전했다. 대부분 보도는 길지 않다.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도 "한국이 신임 주중대사를 임명하면서 소통을 유지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짤막하게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그러면서 전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대사는 국가 간 관계 성장을 위한 교량 역할을 한다"며 "우리는 한국과 소통을 유지하고 중한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촉진할 의향이 있다"고 말한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의 발언 내용을 중점적으로 전했다.

김 전 대사에 대한 환영은 딱 거기까지인 분위기다. 엄격하게 정부의 통제를 받는 중국 관영언론의 반응은 그대로 중국 정부의 스탠스라고 보면 된다. 윤석열정부 출범과 동시에 정재호 현 대사가 임명됐던 2022년 당시엔 중국 관영언론들이 정 대사의 이력과 향후 전망을 상세하게 보도했었다. 반면 김 전 실장 임명에 대해서는 그나마도 한국 언론 인용 보도가 대부분이다.



냉랭한 중국의 반응은 정치는 물론 경제적으로 멀어지고 있는 한중관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과 중국의 한한령으로 '강을 건넌' 한중관계는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미중관계 악화, 공급망 대란 등을 거치며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이 기간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실적은 중국 정부의 보이지 않는 압박과 중국 내 소비자들의 외면 속에 대부분 나빠지고 있다.

중국도 한국과 관계 악화를 그냥 두고 볼 수는 없다. 미중관계가 날로 나빠지는 상황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가깝고 여전히 인적교류 규모가 크며, 외교적으로는 북한을 통제하는 열쇠 격인 한국과 영원히 관계를 단절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초대 비서실장인 김 전 실장을 주중대사로 임명한 것과 관련해 제한적이나마 관계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뤼차오 랴오닝사회과학원 동북아담당 연구원은 중국 현지언론에 "이번 지명은 윤석열 정부가 중국과 관계를 개선하고 싶어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김 전 실장은 윤석열정부 인사결정 그룹 핵심 멤버이며, 경제 및 무역분야 경험과 과거 중국과 실용적 교류를 한 경험 등을 감안할 때 전임자보다 더 나은 일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윤석열정부가 최근 중한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발언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한국이 중국의 핵심 이익을 존중하고 상호 존중에 기반한 양자관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 조치를 취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AFPBBNews=뉴스1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AFPBBNews=뉴스1
11월 미국 대선을 앞둔 가운데 미중관계가 급격하게 요동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남북관계는 날로 악화하고 있으며 북한과 러시아, 중국의 3국 관계에도 미묘한 긴장감이 읽힌다. 동북아를 중심으로 국제정세가 '역대급'으로 복잡하다. 김 전 실장의 앞에 어려운 외교적 숙제가 놓였다는 의미다.

반면 상대적으로 바닥을 친 만큼 성과를 내기 쉬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더 나빠질 것이 없다. 김 전 실장이 전공을 살려 경제협력 프로젝트로 성과를 낸다면 한중관계 개선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점차 협력의 폭을 넓혀가면서 내년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포함한 외교적 성과를 낼 가능성도 있다.

한편 김 전 실장 임명으로, 싱하이밍 전 대사의 귀국과 함께 공석으로 남아있는 주한 중국대사 후임에도 더 관심이 쏠린다. 마오닝 대변인은 전날 언론 질의응답에서 "후임 주한대사에 대해서는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말했다. 속내가 복잡해 보인다. 한국이 대통령의 최측근인 거물급 인사라는 패를 뽑은 만큼 중국으로서도 이에 화답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