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빈 / 사진=넷플릭스
김우빈의 몸짓과 눈짓을 통해 무도실무관이라는 직업의 중요성이 각인된 영화 ‘무도실무관’(각본/감독 김주환)은 현직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지켜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따뜻하게 덥혔다. ‘무도실무관’은 태권도, 검도, 유도 도합 9단 무도 유단자 이정도(김우빈)가 보호관찰관 김선민(김성균)의 제안으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전자발찌 대상자들을 24시간 밀착 감시하는 무도실무관으로 함께 일하는 이야기를 그린 액션 영화다.
“일상 속에 숨어있는 영웅들을 알려주자는 의미가 담긴 영화인데 그런 역할을 해낸 것 같아서 정말 좋았어요. 주변에 잘 봐주신 분들이 많아서 아주 감사했고 덕분에 행복한 연휴를 보냈어요. 관람평 중에 ‘이 영화 돈 주고도 보겠다’라는 글이 제일 감사하더라고요. 이것 말고도 ‘무도실무관에 대해 알게 됐다’ 이런 관람평을 남겨주신 분들의 글을 볼 때 저의 진심이 전달된 것 같아서 좋았어요.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이분들의 노고를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했거든요.“
김우빈 / 사진=넷플릭스
“저는 이 영화에서 정도의 감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액션물이지만 드라마 장르라고 봤거든요. 그래서 정도가 변화를 느끼는 순간들을 디테일하게 표현하고 싶었어요. 연기할 때 표정을 계산할 수가 없으니까 이런 디테일을 잘 살릴 수 있을까 걱정했는데 화면을 보니 제가 느끼고 생각했던 감정이 잘 드러난 것 같아서 좀 다행이었어요. 정도가 깊은 마음으로 무도실무관을 시작한 게 아니라 재미있을 것 같아서 시작하잖아요. 그래서 순간순간에 더 솔직하게 반응할 수 있었어요. 그런 변화를 보여줄 수 있어서 좋았고 즐거웠어요.”
이 시각 인기 뉴스
김우빈은 정도를 형상화하며 자신의 생각을 감독과 끊이지 않고 나눴고, 진심을 다해 캐릭터에 완전함을 부여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실제 무도실무관과 보호관찰관을 만났고, 현실로 마주한 그들의 노고를 듣고 접하며 막중한 책임감으로 ‘무도실무관’에 임했다.
“부끄럽게도 시나리오를 받고 무도실무관이라는 직업을 처음 알게 됐어요. 시나리오를 읽으면서 감독님이 이런 직업이 있다는 걸 많은 분들께 알려드리고 싶다는 마음이 느껴져서 좋았어요. 출연을 확정하고 실제 보호관찰소에 가서 보호관찰관 분들과 무도실무관 분들을 만났어요. 업무 이야기도 듣고 보디 캠도 살짝 보여주셨어요. 방검복, 전자발찌 등도 보여주셨어요. 이야기를 듣다 보니 제가 생각한 것보다 더 힘든 일을 하고 계시더라고요. 그때 느낀 그 마음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김우빈 / 사진=넷플릭스
“체격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촬영 3개월 전부터 몸을 만들고 액션을 익혔어요. 체육관에 가면 유도 1시간, 검도 1시간, 태권도 1시간씩을 순서대로 했어요. 체육관에 못 나가는 날은 집에서 1시간씩 배운 대로 했어요. 그렇게 몸을 만들고 액션을 익혔어요. 액션신은 항상 위험해요. 큰 거에 다치기보다는 체력적으로 힘에 부치다가 삐끗할 때가 있어요. 저는 어디가 크게 부러지지 않는 이상 인대 늘어나는 정도는 다쳤다고 생각하지 않고 촬영에 임해요. 다치지 않으려는 마음을 아예 안 갖고 있어요. 또 무술팀이 워낙 베테랑이라 제가 못해도 잘 받아주셔서 풍부한 그림이 나올 수 있었죠.”
‘무도실무관’의 이정도는 재미만 좇다 우연히 접한 일에서 가치를 좇는 변화를 겪는다. 내면의 성장을 통해 보람을 찾고 진정한 행복을 느끼는 이정도의 모습을 보고 있자면 화면 바깥까지 그 울림이 느껴진다. 극 중 인물이 아닌 실제 김우빈을 행복하게 만드는 삶의 가치는 하루하루의 충실이었다. 잔잔하지만 곧았고 하루하루에 충실하지만 과욕하지 않는 삶을 사는 그를 보고 있자니 그가 걷는 정도(正道)의 길을 더욱 응원하게 됐다.
“배우 이전에 개인으로서 하루하루 충실하면서 살려고 해요. 거기에서 따라오는 행복들이 꽤 있더라고요. 배우로서도 비슷해요. 현장에서 내가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집중하고 즐기고 감정을 나누는 게 점점 중요해지고 있고 행복을 느껴요. 아무래도 아프면서 쉬는 시간을 가졌을 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았어요. 20대는 너무 일에 치여 살았더라고요. 돌아보니 그 시간들이 좀 슬펐고 그래서 하루하루가 더 중요해졌어요. 그걸 실천하며 사니까 행복해지더라고요. 앞에 있는 사람의 얼굴을 많이 보고 순간의 행복을 좇는 게 좋아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