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일곱살 '금쪽이' 이유 있었다…뇌 영상 나타난 원인

머니투데이 양성희 기자 2024.07.05 06:23
글자크기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 활동 발달 경로를 비교 분석한 결과. ADHD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좌측 상측 측두엽 및 우측 중간 전두엽의 혈류량이 낮았다. /사진=서울대병원 홈페이지 캡처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 활동 발달 경로를 비교 분석한 결과. ADHD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좌측 상측 측두엽 및 우측 중간 전두엽의 혈류량이 낮았다. /사진=서울대병원 홈페이지 캡처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뇌 기능 변화가 만 7~8세에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 시기에 ADHD 증상이 발현되거나 심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과 영상의학과 손철호 교수팀은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 활동 발달 경로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지난 3일 발표했다.



ADHD는 5~10%의 학령전기, 학령기 아동에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경 발달 장애다.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거나 주의력을 요구하는 과제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특징이다.

ADHD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뇌 발달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ADHD 진단과 개선에 중요하다.



연구팀은 ADHD 아동 157명과 정상 아동 109명을 대상으로 삼고 △만 6~7세 △만 8~9세 △만 10~12세 등 연령별로 그룹을 나눴다.

뇌의 혈류량을 측정했더니 ADHD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주의력, 실행 기능과 관련된 좌측 상측 측두엽과 우측 중간 전두엽의 뇌 혈류량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연령별로 비교했더니 만 6~7세의 경우 ADHD와 그렇지 않은 아동 사이 눈에 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만 8~9세, 만 10~12세 그룹에서는 ADHD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특정 뇌 영역에서 더 낮은 혈류량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ADHD 아동의 뇌 발달 경로가 정상 아동과 다르며 특히 만 7~8세 사이에 뇌 기능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ADHD 증상의 발현이나 심화가 이 시기에 뚜렷해질 수 있어 조절 기능 관련 뇌 발달 경로에서 중요한 시점이란 것을 보여준다"고 부연했다.

만 8~9세 ADHD 아동은 정상 아동과 비교했을 때 주로 운동 기능, 실행 기능과 관련된 뇌 부위의 혈류량이 낮았다. 이 시기 ADHD 아동은 집중력과 실행 기능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미다.

만 10~12세의 경우 시각 처리, 공간 인지와 관련된 뇌 부위의 혈류량이 낮았다. 이는 이 시기 ADHD 아동이 시각적 정보 처리나 공간 인지 능력 면에서 기능이 저하됐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붕년 교수는 "이번 연구는 ADHD 아동의 뇌 발달이 정상 아동과 뚜렷하게 다르게 진행되는 변곡점을 추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령에 따른 뇌 혈류량 차이로 ADHD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나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학술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실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