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키우는 SK바사, 獨 CDMO사 품었다

머니투데이 홍효진 기자 2024.06.28 05:00
글자크기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27일 오전 서울 명동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 발언하고 있다. /사진=홍효진 기자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27일 오전 서울 명동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 발언하고 있다. /사진=홍효진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 (52,600원 ▼700 -1.31%)(이하 SK바사)가 '송도시대'를 앞두고 외형 확장을 꾀하고 있다.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인 독일 'IDT 바이오로지카'(이하 IDT)를 인수하며 신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내년 인천 송도로 본사 이전에 앞서 기존 백신 사업에 CDMO 및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영역을 더하며 본격적인 '몸만들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안재용 SK바사 사장은 이날 서울 명동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IDT는 매출 기준 글로벌 상위 10위 CDMO"라며 "핵심인 독일 공장은 SK바사가 CGT 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앵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SK바사는 독일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CMO(위탁생산)·CDMO 기업 IDT의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00% 독일 자회사를 통해 클로케가 보유한 IDT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7500만유로(약 1120억원)의 신주를 포함, 회사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하기로 했다. 주식 취득을 마치면 SK바사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최대주주가 된다. 클로케 역시 IDT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사의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SK바사는 약 2630억원의 보유 현금으로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SK바사는 매출 신장 및 생산 인프라 확대를 주요 기대효과로 본다. 지난해 기준 SK바사와 IDT의 매출은 각각 3700억원, 4000억원이다. 양사 통합 약 7700억원으로 매출 규모가 확대되는 셈이다. IDT는 독일과 미국에 각각 약 41만평, 1100평 규모의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특히 독일 공장은 공정개발과 임상, 상업 생산을 모두 아우르는 핵심 설비다. 백신과 CGT를 모두 취급하는 데다 세계 최초의 항암바이러스 '임리직'을 생산하고 있어 SK바사의 신성장 동력인 CGT 사업 확장도 기대된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SK바사는 △백신 포트폴리오 확장 △제조 R&D(연구·개발) 및 인프라 강화 △글로컬라이제이션(세계화+현지화) '스카이 쉴드'(SKY Shield) 실행 △넥스트 팬데믹 대비 △뉴(New) 바이오 사업 확장의 5가지 내용(5 Pillars)을 포함한 '3.0' 성장전략을 펴고 있다.

안 사장은 "SK바사가 백신 CDMO 영역으로도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의미가 가장 크다"며 "스카이 쉴드 관련해서도 한국·동남아·아프리카에 이어 유럽까지 생산 기반이 확대되면서 공장 간 시너지가 확보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제품·설비·인력 측면에서 기존 SK바사의 안동공장과 상당히 상호 보완적"이라며 "백신 (시설) 증설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IDT 인수로 안동 투자 대비 5년의 시간을 벌었다고 본다. 직원 평균 연령대도 IDT는 42.5세, 안동공장은 30세인데 IDT의 경험과 안동의 젊음을 결합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안 사장은 IDT 인수가 SK그룹 차원에서 진행 중인 리밸런싱 작업과도 일치한다고 언급했다. 안 사장은 "리밸런싱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지만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 IDT 인수는 놓치면 안 될 기회를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CDMO 사업을 운영 중인 SK팜테코와의 경쟁 구도에 대해선 "SK바사는 IDT의 시설을 CDMO는 물론 자체 제품을 위한 생산 시설로도 활용할 계획으로 CDMO 사업으로 전환하는 게 아닌, 추가로 사업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얼핏 보면 사업 중복으로 경쟁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경쟁보다는 시너지라고 생각한다. SK팜테코와도 적절한 협업과 긴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 4월 밝힌 '5년간 2조4000억원 투자'라는 중장기적 계획에 대해선 "1년2개월간 경영 환경 변화가 많아 일단 투자 계획은 축소하고 있다"면서도 "추가적인 M&A(인수합병)에 많은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