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경찰대, AI기반 범죄예방 기술 협약... 첫 타깃은 금융범죄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24.06.27 14:49
글자크기
SK텔레콤은 경찰대학치안정책연구소와 'AI 기반 범죄 예방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2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인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장(사진 좌)와 양승현 SKT CTO(사진 우)가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하는 모습 /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은 경찰대학치안정책연구소와 'AI 기반 범죄 예방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2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인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장(사진 좌)와 양승현 SKT CTO(사진 우)가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하는 모습 / 사진제공=SK텔레콤


AI(인공지능) 기술로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SK텔레콤과 경찰대가 힘을 더한다.

SK텔레콤 (51,500원 ▲100 +0.19%)(SKT)은 27일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와 'AI 기반 범죄예방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MOU 체결을 시작으로 SKT의 AI 등 첨단 ICT(정보통신기술) 역량과 치안정책연구소의 치안정책 및 범죄 관련 융·복합연구 역량이 합쳐져 급변하는 치안환경과 신종범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1980년 설립된 경찰대학 산하 치안종합연구기관으로, 치안정책에 대한 연구와 함께 치안 분야에 과학기술역량을 더하는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며 경찰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한 치안정책연구소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SKT의 양승현 글로벌솔루션테크 담당(CTO)과 이종민 미래R&D담당, 양승지 비전R&D담당, 경찰대학의 이인상 치안정책연구소장, 강용길 연구소발전TF팀장, 권태형 치안AI연구센터장 등 양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향후 적극적 협력을 다짐했다.



SKT와 치안정책연구소는 첫 과제로 첨단 금융범죄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AI기술의 공동 개발에 나선다. 이어 최신 AI 개발, R&D(연구개발) 실증을 위한 업무협조, 공동연구 개발과제 발굴 및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조에 나선다. 또 양측은 범죄현장을 담은 CCTV(폐쇄회로TV)에 비전AI를 접목시키는 등 기술협력 범위를 지속 확장할 예정이다.

양승현 SKT 글로벌솔루션테크 담당(CTO)은 "이번 MOU를 시작으로 SKT와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의 R&D 역량을 결합해 점점 지능화되는 치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SKT가 보유 중인 AI를 비롯한 첨단 ICT 기술들을 활용해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인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장은 "이번 MOU가 국민의 안전을 더욱 견고히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SKT와 지속적인 협력과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그 성과를 치안 현장에 적용하여 국민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