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장-기술특례, 상장심사 분리+전문조직 구성 "상장빨라진다"

머니투데이 서진욱 기자 2024.06.27 14:00
글자크기
한국거래소 서울 사옥. /사진제공=거래소.한국거래소 서울 사옥. /사진제공=거래소.


한국거래소가 상장 심사 지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의 심사를 분리해 진행한다.

거래소는 기술심사 전문화, 절차·관행 개선, 심사조직 및 인력 확충을 골자로 한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 방안을 27일 발표했다.

우선 심사 난이도가 높고 장기간이 소요되는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의 심사를 완전히 분리한다.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 산업 전문심사 체계를 구축한다. 산업 특성을 반영한 심사기준 수립 및 심사기법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기술심사1팀 바이오, 기술심사2팀 ICT/서비스, 기술심사3팀 제조업(소부장)을 전담하는 구조다.



기술특례 기업은 심사절차상 전문가 회의 등 추가 절차가 필요하며, 재무성과와 같은 단순명료한 판단 기준 적용이 곤란한다. 따라서 상장예비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된다. 기술특례 기업 상장 신청 건수와 비중을 보면 2022년 45곳(37%), 2023년 58곳(44%), 2024년 4월 17곳(47%) 등으로 지속해서 늘고 있다.

거래소는 심사 초기 심사 이슈 해소에 필요한 기간을 예상해 우선 처리가 가능한 기업은 신청 순서와 무관하게 우선 처리할 방침이다. 단기간 내 이슈 해소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심사 장기화보다는 최소 기한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주관사와 사전 협의를 활성화해 주요 이슈 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 해소 후 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심사조직과 인력도 확충한다. 심사 지연 문제 해소를 위해 특별심사 TF를 설치해 심사인력을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심사 전문화를 통해 관련 기술 전문지식 축적 및 심사 역량을 제고해 심사품질 향상과 심사기간 단축을 동시에 도모하겠다"며 "심사 이슈 경중에 따른 처리기간 차등화를 통해 심사 기간 단축 뿐만 아니라 주관사에 의해 자율적으로 신청 전 이슈 정비를 유도하는 효과도 동시에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