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5%, 돈 굴리는 재미 쏠쏠해"…'현금 함정'에 빠진 사람들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2024.06.27 06:31
글자크기

고금리 기조에 현금성 자산 비중 늘어,
미 MMF 잔액 6조달러 돌파 사상 최대…
금리인하 임박에도 '자산 재배치' 외면

최근 수년간 '현금 굴리기'만으로 꽤 높은 수익을 낸 투자자들이 '현금 함정'에 빠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고금리 기조를 고집했던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조만간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면 이자 수익이 떨어질 것이 뻔한데도 자산 재배치를 미루고 있다는 분석이다. /로이터=뉴스1최근 수년간 '현금 굴리기'만으로 꽤 높은 수익을 낸 투자자들이 '현금 함정'에 빠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고금리 기조를 고집했던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조만간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면 이자 수익이 떨어질 것이 뻔한데도 자산 재배치를 미루고 있다는 분석이다. /로이터=뉴스1


최근 수년간 '현금 굴리기'만으로 꽤 높은 수익을 낸 투자자들이 '현금 함정'에 빠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고금리 기조를 고집했던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조만간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면 이자 수익이 떨어질 것이 뻔한데도 자산 재배치를 미루고 있다는 분석이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자산운용협회인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인스티튜트(ICI) 자료를 인용해 이달 초 기준 머니마켓펀드(MMF) 잔액이 6조1200억달러(한화 약 8500조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MMF는 투자회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으로 대표적인 현금성 자산이다. 단 하루만 맡겨도 은행 정기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지급하는 만큼 시장 유동성이 풍부하거나 금리가 높을 때 잔액이 늘어난다. 미국에선 연준의 금리 인상이 시작된 지난 2022년 3월 이후 MMF 잔액이 꾸준히 늘었으며 이달 기준 연 평균 수익률은 5% 안팎이다.

미시간주 그로스포인트에 거주하는 밥 맥거번(66)도 자산의 60%를 MMF에 넣고 연 5% 수준의 이자를 받는 사례다. 맥버건은 "난 평생을 은행에서 근무한 전형적인 안전 추구형 투자자"라며 "연준이 기준금리를 4%로 낮출 때까지는 현금 자산 형태로 보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연 5%'의 안정적인 수익이 투자자들을 '현금 함정'에 빠뜨렸다고 WSJ은 지적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조치가 임박한 만큼 자산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구성해야 할 상황인데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그래픽=머니투데이'연 5%'의 안정적인 수익이 투자자들을 '현금 함정'에 빠뜨렸다고 WSJ은 지적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조치가 임박한 만큼 자산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구성해야 할 상황인데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그래픽=머니투데이
하지만 '연 5%'의 안정적인 수익이 투자자들을 '현금 함정'에 빠뜨렸다고 WSJ은 지적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조치가 임박한 만큼 자산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구성해야 할 상황인데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뱅가드의 액티브 채권 상품 책임자인 존 크로크는 "현금을 보유한 것만으로 연 5%대 수익을 얻는 것은 매력적이지만, 이 같은 상황은 이제 백미러를 통해서나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금리는 최고점을 찍은 지 오래됐고, 앞으로는 내려갈 일만 남았기 때문에 달콤한 이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자산 포트폴리오 재조정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전문가들에게도 어려운 일이지만 주식·채권 등 다양한 상품을 외면한 채 현금 보유만을 고집했다간 잠재적 이익을 놓칠 수 있다고 WSJ은 짚었다. 인플레이션이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점, MMF의 세금·수수료 등이 일반적인 자본 소득에 비해 높다는 점 등도 인지할 필요가 있다.


크로크 책임자는 "연준이 본격적으로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전에 적당한 장기 금융 상품을 찾아 자산을 재분배해야 한다"며 "단기 현금성 자산의 연 5% 이자 시대는 막을 내릴 것"이라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오는 11월 미 대선, 우크라이나 전쟁, 가자지구 분쟁 등 변수가 존재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JP모건자산운용의 수석 글로벌 전략가 데이비드 켈리는 "큰 현금 잔고를 유지하는 투자자들은 금리가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매우 일방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시장의 흐름을 읽지 않고 감정에 따라 움직인다면 평생 현금에만 매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