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결과 보니…"바이든, 초박빙 3곳 다 잡아야 역전승"

머니투데이 김종훈 기자 2024.06.26 15:20
글자크기

NYT, 위스콘신·미시간·펜실베니아 표심 최대 변수로 주목

지난 3월 19일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연설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지난 1월 16일 뉴햄프셔주 앳킨슨 유세 현장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로이터=뉴스1 지난 3월 19일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연설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지난 1월 16일 뉴햄프셔주 앳킨슨 유세 현장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로이터=뉴스1


최근 미국 내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서 조 바이든 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포인트 안팎 지지율 격차로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위스콘신·미시간·펜실베니아 3개 주가 승부를 가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바이든 대통령이 3개 주 표심을 얻는다면 간발의 차이로 역전승을 써낼 수 있다는 것. 주별 승자가 해당 지역 선거인단을 독식하는 선거 특성상 박빙 상황에서는 전국 여론보다 주별 상황이 중요한 미국이다.

"바이든, 위스콘신·미시간·펜실베니아 잡는다면 선거인단 2석 차 승리 가능"
2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통계사이트 '파이브서티에이트'에 집계된 미 대선 여론조사 450건 결과를 취합, 분석한 결과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스윙 스테이트'(격전지) 7개 주를 제외하고 각각 226명, 219명으로 비슷한 수의 선거인단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대선 당시 득표율 3%포인트 이상 차이로 승리한 주에서 올해도 승리할 것이라 보고 계산한 수치다. 대선 선거인단 수는 총 538명으로 최소 과반인 270명을 확보한 후보가 승리한다.



4년 전 대선에서 득표율 차이가 3%포인트 미만이었던 7곳은 △애리조나(선거인단 11명) △조지아(16명) △미시간(15명) △네바다(6명) △노스캐롤라이나(16명) △펜실베니아(19명) △위스콘신(10명) 등으로, 선거인단 수는 총 93명이다. 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 270명의 3분의 1에 이르는 숫자다.

지난 대선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7곳 모두 승기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이들 지역 여론조사 결과는 모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세하다. NYT 계산에 따르면 지지율 격차는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니아를 제외한 4곳에서 4%포인트 이상까지 벌어졌다. 다른 3곳 지지율 격차는 △위스콘신(1%포인트 미만) △미시간(2%포인트) △펜실베니아(2%포인트)였다. 바이든과 트럼프 양자대결을 가정한 결과다.



이 수치는 NYT가 지난해 10월부터 시행된 여론조사 450건 결과를 기초로 계산한 평균값이다. 응답자가 많았던 여론조사 결과가 더 잘 반영되도록 가중치를 부여했다고 한다.

NYT는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니아에서 바이든이 승리한다면 나머지 스윙 스테이트 4곳에서 패하더라도 선거인단 270명을 확보하기 때문에 역전승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경우 트럼프는 총 268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한다.

존 F 케니디 대통령의 조카로 이번 미국 대선에 무소속 출마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달 텍사스 오스틴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AFPBBNews=뉴스1존 F 케니디 대통령의 조카로 이번 미국 대선에 무소속 출마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지난달 텍사스 오스틴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AFPBBNews=뉴스1
무소속 대선 주자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까지 합쳐 3자 대결을 가정하면 승부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더 유리해진다. 이 경우 미시간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지지율 격차가 1%포인트 대로 줄어들기 때문. 케네디 주니어는 대선을 완주하겠단 입장이다.


초접전지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니아는 여론조사로 표심을 가늠하기 힘든 주로 꼽히는 점이 변수다. 여론조사 지지율이 실제 투표 결과와 차이가 큰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 NYT가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대선을 3회 치르면서 실시한 자체 여론조사 등에 기초해 계산한 바에 따르면, 위스콘신의 경우 여론조사와 실제 득표율 사이 차이가 9%포인트까지 벌어진 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 펜실베니아도 각 6%포인트, 5%포인트까지 차이가 벌어진 적이 있었다.

단발성 이벤트보다 정책 중시한다는 미국 유권자들
현재 대선까지 남은 변수는 오는 27일 바이든 대 트럼프 대선 토론과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성추행 입막음' 사건 판결 선고, 헌터 바이든의 불법 총기 소지 사건 판결 선고 등이다. 그러나 이들 변수가 표심을 바꿀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이 지난 11일(현지시각)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에서 열린 불법 총기 소유 혐의에 대한 재판서 유죄 평결을 받은 뒤 현장을 떠나고 있다./AFPBBNews=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이 지난 11일(현지시각) 델라웨어주 윌밍턴 연방법원에서 열린 불법 총기 소유 혐의에 대한 재판서 유죄 평결을 받은 뒤 현장을 떠나고 있다./AFPBBNews=뉴스1
지난 19일 폭스뉴스가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양자토론이 중요하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30%로, '연령과 정신 상태'(45%), '일관성'(61%), '리더십'(66%)보다 훨씬 낮았다. 폭스뉴스가 14일부터 나흘간 유권자 10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유죄 평결 때문에 지지를 재검토한 적이 있느냐'는 항목에서 '재검토한 적 없다'고 답한 비율은 94%였다. 헌터 바이든에 대한 같은 질문에서 '재검토한 적 없다'고 한 비율도 96%에 달했다.

유권자들은 토론 대결, 사법리스크 같은 일시적 이벤트보다 사회 이슈와 정책에 더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스뉴스 여론조사에서 이번 선거에서 개인적 자질을 중시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29%였던 반면 사회 이슈를 중시하겠다는 답변은 59%였다. 이번 대선의 최대 이슈로 꼽히는 이민과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이 정책을 연달아 발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케네디 주니어를 포함한 대선주자 3명과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영부인 질 바이든·헌터 바이든 등에 대한 인물 호감도 조사에서 헌터 바이든에 대한 비호감도가 72%로 50% 안팎이었던 나머지에 비해 압도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헌터 바이든에 대한 판결이 대선 변수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