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을 석유로" 플라시클, 시드투자 유치·초격차1000 선정

머니투데이 고석용 기자 2024.06.26 17:00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폐플라스틱을 석유로" 플라시클, 시드투자 유치·초격차1000 선정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해 다시 화학연료로 되돌려놓는 '해중합(Depolymerization)' 기술 스타트업 플라시클이 블루포인트파트너스와 그래디언트 (14,470원 ▲10 +0.07%)(옛 인터파크)에서 시드투자를 유치했다고 26일 밝혔다.

플라시클은 촉매 기반의 해중합 기술로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재생시키는 기업이다.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유해 물질을 걸러낸 뒤, 다시 화학적으로 융합해 플라스틱 제품을 만든다. 플라시클은 자체 개발한 특수 촉매를 활용해 기존 방식에서의 중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세척·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플라시클의 해중합 기술은 재생원료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원가경쟁력을 높이면서 재활용 소재의 순도를 높이는 등 품질 개선까지 달성 가능하다. 현재 폐플라스틱 중 PET 소재와 PC 소재를 대상으로 개발 중이며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 잠재수요처와 논의해 수요자 중심의 재생 원료를 개발하고 있다.

조창범, 장홍제 공동 대표를 비롯한 플라시클 창업팀은 화학 관련 전공 박사학위를 보유한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혁신적이고 독보적인 기술 개발과 함께 특허 등록 및 논문 수락까지 진행해왔다. 초기 검증을 넘어 파일럿 테스트와 양산화 검증 등 수요처와 협력을 통해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플라시클은 이번 시드 유치에 이어 중소벤처기업부 '2024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DIPS 1000+)에도 선정됐다. 10대 신산업 분야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사업으로 3년간 최대 6억원의 사업화 자금과 기술개발-정책자금-기술보증 등 혜택을 지원받는다.

조창범 플라시클 대표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선정으로 촉매 기반 해중합 기술이 기술력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플라시클은 기술 기반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순환경제를 선도하며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속 가능 기업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