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핏, 국제뇌기능매핑학회 참가…뇌 자극 시뮬레이션 연구 발표

머니투데이 박기영 기자 2024.06.26 11:30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OHBM에서 뉴로핏 연구원이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뉴로핏OHBM에서 뉴로핏 연구원이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뉴로핏


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이 국제뇌기능매핑학회(OHBM 2024)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관련 뇌 전기 자극 시뮬레이션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뉴로핏은 부스 전시를 통해 뇌 전기 자극용 영상 치료 계획 소프트웨어 '뉴로핏 테스플랜 플러스(Neurophet tESplan Plus)'와 뇌신경 퇴화 MRI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뉴로핏 아쿠아(Neurophet AQUA)'를 선보였다. 뉴로핏 테스플랜 플러스는 기존 뇌 전기 자극용 영상 치료 계획 소프트웨어 '뉴로핏 테스랩(Neurophet tES LAB)'에 뇌졸중 영역 분석 지원 기능이 추가된 연구용 제품으로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다.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경두개 직류 자극(tDCS) 또한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환자와 인지적으로 정상인 사람들에게 동일한 뇌 전기 자극 방법을 사용해 왔는데 이 경우 목표 뇌 영역을 충분히 자극하지 못해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뉴로핏은 '알츠하이머병과 성별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으로 유도된 전기장의 차이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환자와 인지적 정상인에게 동일한 뇌 자극 방법을 적용했을 때 유도되는 전기장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했다. 뉴로핏 테스랩과 뉴로핏 아쿠아를 사용해 3차원 뇌 모델을 생성하고 각 치료 대상군에 동일한 tDCS 자극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영역별 전기장 강도가 정상인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뉴로핏 관계자는 "기존 연구에 따르면 tDCS에 의한 신경생리학적 변화가 시뮬레이션 기반 전기장 강도와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며 "이 때문에 정상인과 알츠하이머 환자의 전기장 강도가 다르다는 것은 임상적 효과의 차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살명했다. 이어 "이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tDCS 자극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이사는 "OHBM은 뇌 전문 세계 석학들이 모이는 전통 있는 국제 학회로 뉴로핏의 한 층 업그레이드된 뇌 전기 자극 시뮬레이션 제품과 연구를 선보였다"며 "특히 알츠하이머병 치료 시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알츠하이머병 치료 뇌 자극 기술에 대한 연구진의 호응이 매우 커 관련 연구 개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OHBM은 전 1995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6월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됐으며 올해는 서울 코엑스에서 지난 23일에 시작해 오는 27일까지 진행된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