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 26일 출범···대표 후보 단독 출마 어떻게?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2024.06.25 15:58
글자크기

[the300]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청래 최고위원, 이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2024.6.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청래 최고위원, 이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2024.6.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26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을 발표하고 8·18 전당대회 채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차기 당대표 도전을 위해 일시적으로 자리에서 물러난 이재명 전 대표가 단독으로 후보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전준위가 지도부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전준위 출범과 동시에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룰) 마련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전준위는 통상 위원장 1명, 부위원장 2명, 총괄본부장, 위원들로 구성된다. 지난 2022년 전당대회에서는 당시 4선이던 안규백 의원이 전준위원장을 맡아 규칙을 마련했으며 올해에도 3선 이상의 의원이 전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당대표 선출 방식이다.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당대표와 최고위원은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분리해서 선출하되 당대표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수가 4명 이상이거나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수가 9명 이상인 때에는 예비경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야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이재명 전 대표 외에 당대표에 도전할 것으로 유력하게 예측되는 인물은 없는 상황이다. 한 때 5선의 이인영 의원이 차기 당대표에 도전할 것이란 관측도 있었지만 복수의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로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박용진 전 의원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당권주자로 거론됐었지만 일찌감치 출마 의사를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 당대표 선출시 예비경선을 할 필요가 없는 상황인 셈이다.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4.6.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4.6.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한 민주당 관계자는 "전당대회 일정상 7월 초~중순쯤 전당대회에 대표·최고위원직에 출마할 후보 등록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예상치 못한 후보가 나올 수 있으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통상 전준위가 룰을 정할 때 전례를 참고하는데 당대표 후보가 만약 한 명 뿐이라면 이는 전례가 없는 상황이라 전준위원들이 고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일각에서는 대표 선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투표 없이 대표를 추대하진 않겠지만 박찬대 원내대표 선출 사례를 참고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난 5월 22대 국회 민주당 1기 원내사령탑으로 선출된 박 원내대표는 경쟁자가 없어 찬반 투표를 통해 선출됐다. 당시에도 원내대표 단독 출마는 이례적이었다. 열린우리당 시절인 2005년 정세균 당시 원내대표가 단독으로 출마해 만장일치 추대된 이후 약 20년 만의 사례로 기록됐다.

차기 당대표와 달리 최고위원에는 도전장을 내민 의원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재선의 강선우·김병주 의원이 지난 24일 일찌감치 차례로 최고위원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4선 김민석 의원, 3선 전현희 의원, 재선 민형배·한준호 의원 등도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출직 최고위원은 총 5명으로 지난 2022년 전당대회 당시 예비경선을 통해 8명의 후보를 추렸고 본경선을 통해 최종 5명을 선출했다. 선거인단은 대의원, 권리당원, 국민, 일반당원으로 구성됐다. 투표결과에는 대의원 투표결과 30%, 권리당원 40%, 국민여론조사 25%, 일방당원 5%를 반영토록 했다. 당시 45%였던 대의원 투표 비중을 15%포인트(P)줄인 대신 국민여론 비중을 더 높였었다.

최근 민주당 내에서는 당원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는 만큼 이번 전준위에서 투표 비중이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민주당이 지난해 말 이미 전당대회 투표시 대의원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을 담은 당헌 개정안을 가결시켰기 때문에 비율 조정이 불필요해졌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해 권리당원 대 대의원 표의 가치를 60대 1 수준에서 20대1 이하로 한다는 내용을 담은 당헌 개정안을 처리한 바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