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철통안보가 진정한 평화…러북조약, 시대착오적 행동"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안채원 기자 2024.06.25 10:45
글자크기

[the300]尹대통령 부부, 대구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 참석

[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06.25. myjs@newsis.com /사진=최진석[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06.25. [email protected] /사진=최진석


윤석열 대통령이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야말로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맺은 조약에 대해서는 "시대착오적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25일 오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 참석했다. 올해 행사는 6·25전쟁의 전환점이 된 다부동·영천·포항 전투 등 대구·경북지역 전투를 집중 조명하고 지방 거주 참전유공자를 대통령이 찾아가 감사를 전하기 위해 대구에서 개최됐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고귀한 생명을 바쳤던 호국영령과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했다.

윤 대통령은 "전쟁 초기 대한민국은 국토의 90%를 빼앗기기도 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했다"며 "포항, 칠곡 다부동, 안강, 영천을 비롯해 대구와 경북 곳곳에서 치열하게 싸웠고 값진 승리를 거뒀다. 이 결정적인 승리가 대한민국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전환점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정전협정으로 포화가 멈췄을 때 우리에게 남은 것은 모든 것이 사라진 절망의 국토뿐이었다. 그래도 위대한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결코 주저앉지 않았다"며 "피로써 자유 대한민국을 지킨 호국영령들의 뜻을 이어받아 눈부신 산업화의 기적을 이뤄냈고 모범적인 자유민주주의 국가, 글로벌 중추국가로 도약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전쟁 후 67달러에 불과했던 국민소득은 이제 4만 달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했다"고도 말했다.

[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2024.06.25. myjs@newsis.com /사진=최진석[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2024.06.25. [email protected] /사진=최진석
윤 대통령은 "우리가 이처럼 자유와 번영의 길을 달려오는 동안에도 북한은 퇴행의 길을 고집하며 지구상 마지막 동토로 남아 있다"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여전히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해 끊임없이 도발을 획책하고 있다. 최근에는 오물풍선 살포와 같이 비열하고 비이성적인 도발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지난주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고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 경제적 협력 강화마저 약속했다"며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하게 지키겠다"며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과 자유의 가치를 함께하고 있는 국가들과의 연대를 통해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강정애 (왼쪽부터)국가보훈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조태열 외교부 장관, 신원식 국방부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2024.06.25. myjs@newsis.com /사진=최진석[대구=뉴시스] 최진석 기자 = 강정애 (왼쪽부터)국가보훈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조태열 외교부 장관, 신원식 국방부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행사에서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2024.06.25. [email protected] /사진=최진석
윤 대통령은 "평화는 말로 지키는 것이 아니다.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야말로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며 "우리가 더 강해지고 하나로 똘똘 뭉치면 자유와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도 결코 먼 미래만은 아닐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윤 대통령은 "이러한 노력이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길"이라며 "정부는 6·25전쟁 참전용사들을 최고로 예우하고 보훈 문화가 우리 사회에 더욱 확산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행사는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 구축 후 대구·경북지역에서 벌어졌던 치열한 전투를 소개하는 영상을 시작으로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6·25전쟁에 참전한 22개국 국기와 유엔기, 태극기가 무대에 함께 도열한 가운데 진행됐다. 낙동강 방어선 사수, 서울 수복 등 전쟁 당시의 상황을 표현한 공연 후에는 다부동 전투에 실제로 참전했던 이하영 참전용사가 무대에 올라 '보고 싶은 전우에게'를 주제로 편지를 낭독해 참석자들에게 감동을 줬다.

윤 대통령은 6·25전쟁 당시 수류탄으로 적 전차를 파괴한 고 정정태 하사와 1950년 노량진 전투 당시 아군 진영에 잠입해 활동하던 간첩을 체포한 고 구남태 상병의 유족에게 무공훈장을 직접 수여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6·25전쟁 참전유공자, 정부 주요 인사와 군 주요 직위자, 주한 유엔 참전국 외교사절, 국회의원, 일반시민 등 1300여 명이 참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