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미리받는 K-핀테크에 美 대학도 반했다…200억 투자유치

머니투데이 남미래 기자 2024.06.24 10:20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월급 미리받는 K-핀테크에 美 대학도 반했다…200억 투자유치


급여 선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워치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페이워치의 프리시리즈A 투자사인 미국 벤처캐피탈(VC) 서드프라임과 밴더빌트·일리노이대학 재단이 주도했다. 옥타곤벤처파트너스와 우신벤처투자가 새로운 투자자로 합류했다. 누적 투자유치액은 400억원이다.



페이워치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기존 서비스를 고도화해 동남아시아 등 신규 국가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페이워치는 한국을 비롯해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서 고속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글로벌 시장 진출 이후 월간 평균 급여 선지급 금액 규모는 110억원, 누적 거래액은 800억원에 달한다. 동남아 기반 급여 선지급 서비스 기업 중에서는 역대 최대 거래 규모다. 페이워치는 서비스 확장을 통해 연말까지 누적 거래액 16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페이워치 급여 선지급 서비스는 급전이 필요한 근로자가 일한만큼 급여를 가불받아 경제 활동에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금융복지 혜택으로 도입되고 있다. 근로자는 이자 걱정 없이 인출 수수료만 부담하면 되며 도입 기업에 따라 월급여의 50%까지 무이자로 사용할 수 있다.

CU, CGV,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KT그룹, 나이스금융그룹, 유베이스 등 국내 기업이 페이워치 서비스를 임직원 금융복지로 활용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샹그릴라그룹, 대형마트 LOTUS, Guardian, JAYA Grocer, 윌마 등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마이클 김 서드프라임 파트너는 "북미와 중남미에서는 급여 선지급 서비스가 임직원 복지혜택으로 자리잡았다"며 "이같은 개념이 생소한 아시아에서 페이워치가 새로운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트래비스 쇼어 일리노이 대학재단 최고투자책임자는 "한국 시장이 갖는 특수한 금융 환경과 동남아시아의 열악한 금융 인프라를 감안할 때 페이워치 서비스는 금융소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휘준 페이워치 대표는 "우리 서비스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근로자에게 금융 접근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향후 글로벌 시장 확장에 집중할 것이며, 모두가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