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쉽지 않은 이유

머니투데이 배규민 기자 2024.06.21 05:40
글자크기

편집자주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보험 소비자의 편익을 개선하고 보험업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시행한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가 시행 반년째 흥행이 지지부진하다. 비교·추천 서비스로 많은 국민이 가입하는 보험을 간편·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첫 상품인 '자동차보험'은 이해관계자 간의 수수료율 이견 등으로 처음부터 삐그덕거렸다. 힘들게 서비스를 내놨지만 온라인(CM)과 플랫폼(PM)의 가격 차이 영향으로 활성화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는 손보사들이 플랫폼 보험상품에 수수료를 더하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서다.

자동차보험에 이어 두 번째 서비스인 '펫보험'은 출시 자체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자동차보험과 달리 펫보험은 아직 블루오션으로 보험사와 플랫폼사와의 원활한 협력하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보험사 간에 이해관계로 인해 당초 계획보다 이미 두 달 이상 미뤄졌다. 비교·추천을 위해서는 일정부분 기준을 통일할 필요가 있는데 보험사 간에 의견이 계속해서 팽팽히 맞섰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뒤늦게 지난 19일 일반·장기보험 둘 다 입점시키는 것으로 중재했으나 이로 인한 시스템 추가 개발이 필요해 이달 출시도 물 건너갔다. 이마저도 펫보험 점유율 1위 보험사가 상품 개정을 이유로 입점 시기를 늦추면서 초기 비교 대상 보험 상품은 3개에 그칠 예정이다.



여행자, 저축성, 실손의료보험 등도 순차적으로 나올 예정이나 반응은 회의적이다. 앞의 두 사례처럼 서비스 출시 때마다 보험사 간의 의견 대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조율할 구심점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22개 생명보험사와 18개 손해보험사, 11개 핀테크 사가 '플랫폼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의 원활한 준비 및 운영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한 후 협의체를 구성했다. 당초 협의체는 주요 안건의 이견을 조율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었으나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자칫 특정 보험사의 편에 선다는 부담감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두 번째 서비스를 준비 중인 플랫폼사도 점점 추진 동력이 떨어지는 분위기다. 당국의 지침으로 비교·추천 판매수수료는 배너 광고에 비해 절반에 불과한데 서비스는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어 인력·마케팅 등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실정이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일각에서는 애초 은행권의 대환대출과 달리 보험은 비교·추천 서비스가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험은 상품 구성이 복잡하고 보험사마다 주력으로 팔고 있는 상품도 차이가 있어 처음부터 이견 조율이 쉽지 않다. 설령 일정한 기준에 맞춰 상품을 입점시키더라도 복잡한 특약, 담보 등을 고객이 스스로 판단해 가입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가격을 비교할 순 있지만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는 건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펫보험은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담보 설계가 필요한데 보험료 가격만 따져 가입하는 게 효율성이 있느냐는 의문이다. 보험사들이 온라인에서 파는 CM상품도 고객이 콜센터 상담 후에 가입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는 게 이를 방증한다.



이제라도 금융당국은 보험의 특수성을 이해한 상황에서 접근과 진행, 가이드라인 등이 필요하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올 1월 말한 것처럼 '원팀'이라는 생각으로 상호 협력을 강화해달라는 당부만으로는 서비스 출시는 물론 소비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효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우보세]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쉽지 않은 이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