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ABL503 항암 개선 효과 확인…국제학술지 게재"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2024.06.20 09:46
글자크기

중개 연구 통해 ABL503의 탈진한 CD8+ T 세포 회복 및 종양 성장 억제 효과 확인
미충족 수요 높은 PD-(L)1 재발·불응 환자 공략 가능한 임상 데이터 확보 의미

에이비엘바이오 "ABL503 항암 개선 효과 확인…국제학술지 게재"


에이비엘바이오 (22,500원 ▲350 +1.58%)는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과 미국암학회(AACR)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임상 암 연구'(CCR)에 이중항체 'ABL503' 비임상 연구에 대한 논문을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ABL503은 파트너사 아이맵 바이오파마가 에이비엘바이오의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를 이용해 공동 개발 중인 이중항체다.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과 면역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것이 특징이다.



ABL503은 기존 PD-(L)1 억제제의 제한적인 반응률과 내성을 극복하고, 4-1BB 단일항체의 오프 타깃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됐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BL503의 임상 1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임상 1상의 중간 데이터가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된 바 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CCR에 게재한 논문 제목은 '종양 특이적으로 탈진한 CD8+ T 세포를 활성화하고, 항-PD-1 차단 효능을 향상시키는 4-1BB 및 PD-L1 이중항체'로 ABL503 병용요법에 대한 중개 연구 데이터를 소개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에이비엘바이오·박수형 교수 연구진을 비롯해 분당서울대병원 전승혁 교수, 세브란스병원 한대훈 교수,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박준식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논문에 따르면, ABL503은 PD-(L)1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던 탈진한 CD8+ T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켰으며, ABL503 및 PD-(L)1 억제제 병용요법은 PD-(L)1 억제제 단독요법 대비 CD8+ T 세포의 기능적 복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ABL503이 탈진한 CD8+ T 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종양 성장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PD-(L)1 억제제의 항암 효과를 개선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논문에 게재된 비임상 데이터는 ABL503이 기존 PD-(L)1 억제제의 항암 효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임상에서 ABL503과 PD-(L)1 억제제를 병용할 시 향상된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ABL503의 임상 개발 전략을 더욱 고민하고, 글로벌에서 인정 받는 이중항체로 개발해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