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기술평가 오픈플랫폼 'K-TOP' 개설..."기술투자 활성화"

머니투데이 고석용 기자 2024.06.19 15:42
글자크기
국내 첫 기술평가 오픈플랫폼 'K-TOP' 개설..."기술투자 활성화"


기술보증기금이 보증심사 목적으로 작성한 기술평가정보를 오픈 플랫폼 'K-TOP'을 통해 공개한다. 기업은 물론 은행, 벤처캐피탈(VC) 등에서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기술투자 및 보증심사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기보는 19일 서울 동대문 브이스페이스에서 기업·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금융기관과 한국벤처투자,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창업유관기관 등 12개 기관과 'K-TOP 공동활용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K-TOP은 기보의 신속표준모형(KTRS-FM), 기업혁신역량지수(테크인덱스), 원천기술평가모델 등 3가지 기술평가 콘텐츠를 기반으로 각 기업의 기술평가정보를 제공하고 유관기관이 이를 손쉽게 검색·조회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혁신역량과 미래성장가능성, 원천기술 등급 및 기술성숙도 등을 등급화·수치화된 형태로 보여준다.

기보는 이번 협약으로 K-TOP을 기업, 투자·금융기관, 공공기관에서 사용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먼저 VC는 스타트업의 기술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투자 대상 스타트업 정보를 일괄 검색할 수 있다. 금융기관도 기업 평가등급 및 보증 가능성을 미리 확인해 보증부 대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투자·금융기관의 의사결정이 미래가치 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며 "은행과 VC 모두 담보자산이나 재무상태를 넘어 진정한 미래잠재력인 기술가치를 기반으로 투융자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업도 보증지원 가능성을 스스로 확인하고 혁신역량, 특허출원 타당성 등을 검증해 혁신활동을 효율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공공기관 역시 각 정책 목적에 맞게 사업 수행 역량을 높일 수 있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K-TOP이 기술금융의 접근성을 높이고, 기업의 자기주도적 혁신성장, 효율적인 벤처투자 등을 위한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장관은 "K-TOP이 기업 자신에게는 내부정보인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피드백해주는 멘토이자, 시장에는 난해한 기술을 시장언어로 해석해주는 스마트 조력자가 될 것"이라며 "중소벤처기업과 금융기관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소해 대한민국 기술금융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