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돈 받고는 못 다녀"…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직 고려'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2024.06.19 12:00
글자크기
향후 직장 이직 계획에 대한 의견. /사진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향후 직장 이직 계획에 대한 의견. /사진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20대~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현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5%가 '향후 직장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향후 직장 이직을 고려하지 않음'이라는 응답은 30.5%였다.

특히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가 '직장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변해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직계획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직 고려 사유는 복수응답으로 조사했는데 이직계획자의 61.5%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직을 고려했다. 그 외 응답은 '과도한 업무량' 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 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 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 25.7% 순으로 조사됐다.

개인에게 이직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물은 결과, '연봉 인상 수단'이라는 응답이 49.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개인적 성장 기회'라는 응답이 31.8%, '역량 검증 수단'이라는 응답이 12.3% 순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67.8%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0대에서 79.8%, 30대에서 67.0%, 20대에서 49.6%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직 유경험자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68.5%는 현 직장으로 이직하기 직전 직장보다 높은 연봉으로 이직한 것 조사됐다. 이직 전 직장 연봉과 비교해 '1~10% 상승'이라는 응답이 33.8%로 가장 많았고, '11~30% 상승'이라는 응답은 27.0%, '30% 초과 상승'이라는 응답은 7.7%로 집계됐다. '이전 직장과 연봉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는 응답은 31.5%였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직장인 세 명 중 두 명이 이직을 경험했을 정도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직장인들에게 이직은 단순한 불만족 해소 수단이라기보다는 조금이라도 나은 보상과 근조로건, 그리고 개인의 성장 기회를 추구하는 적극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 입장에서 직원들의 잦은 이직은 업무 공백 발생이나 조직 분위기 저해 등 부정적 영향을 줄 소지가 있고 다른 직장으로 이직한 직원에게 투자한 비용까지 고려하면 기업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에 해당한다"며 "특히 직장인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