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 '신길2구역' 최고 45층·1332가구 공공주택 공급한다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2024.06.19 09:20
글자크기

서울시 공공주택통합삼의위원회…'신길2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계획안' 조건부가결

조감도조감도


오랜 기간 방치됐던 영등포 노후 저층 주거지가 최고 45층 규모 1332가구 공공주택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제4차 공공주택통합심의위원회에서 영등포구 신길동 205-136번지 일대 '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계획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2021년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에 따라 신설된 정책이다.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역 등 민간정비가 어려운 노후 도심에 공공이 주도해 용적률 등 혜택을 부여해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한다. 지난해 역세권 3곳이 통합심의를 통과한 이후, 저층 주거지역으로는 신길2구역이 처음으로 통합심의에 통과됐다.



대상지는 과거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 2014년 정비구역 해제돼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어 왔다. 2021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 선정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참여로 사업계획승인을 신청, 이번 심의가 가결되면서 다양한 주동 배치를 통해 우수디자인 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이번 복합사업계획안에 따르면 대상지 연면적 21만8918㎡, 용적률 300% 이하, 18개 동, 높이는 지하 3층~지상 45층 규모로 공공주택 총 1332가구(공공분양주택 905가구, 이익공유형 분양주택 267가구, 공공임대주택 160가구)가 공급된다.



공공임대주택은 1~2인 가구를 위한 전용면적 36㎡부터 3인 가구를 위한 59㎡, 64㎡, 4인 이상을 위한 84㎡까지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평면을 구성했다.

또 우신초등학교 인근에 경관녹지를 조성한다. 단지 진입로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와 가로형 공개공지를 연계해 안전하고 쾌적한 통학로 등을 확보했다. 기존 메낙골 근린공원과 녹지 축을 연결하는 문화공원, 공공청사도 세울 계획이다.

시는 분양.임대 세대 간 구분을 없앤 소셜믹스 단지로 구축할 방침이다. 앞으로 심의 결과(조건 사항 등)를 복합사업계획 승인 시에 검토·반영해 2026년 하반기 착공,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이번 심의 통과로 신길동 일대 정비구역 해제 후 방치된 노후 저층 주거지에 주택뿐만 아니라 경관녹지, 문화공원 등 충분한 기반 시설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며 "지역사회 활성화와 열악한 주거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