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20위 '역대 최고'…기업효율성·인프라 분야 돋보여

머니투데이 세종=유재희 기자 2024.06.19 05:30
글자크기
2024 IMD 국가경쟁력 순위/그래픽=이지혜2024 IMD 국가경쟁력 순위/그래픽=이지혜


우리나라가 올해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20위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여덟 계단 오른 수준으로 평가받은 이래 최고 순위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앞섰던 독일·이스라엘 등 국가를 추월했다.

다만 평가 분야에선 희비가 엇갈렸다. 기업 효율성·인프라 분야에선 순위가 급등했지만 경제성과·정부 효율성 등 분야에선 다소 부진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17일 발표한 '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7개국(OECD 국가·신흥국) 가운데 20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28위에서 순위가 여덟개 올랐다.



국가경쟁력 평가는 국가·기업이 그들의 부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보유한 국가별 역량을 조사하고 순위를 매긴다. △총 4대 분야의 △20개 부문 △336개 세부 항목을 평가한다.

올해 우리나라의 순위는 1997년 평가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다. 이번 평가에선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위 스위스, 3위 덴마크 등이다. 주요국 가운데선 미국(12위), 중국(14위) 등이 우리나라보다 높았고 일본(38위), 영국(28위) 등은 낮았다.



아울러 올해 평가에서 지난해 우리나라를 앞섰던 이스라엘(23→22위), 독일(22→24위) 등을 추월했다. 분야별로 보면 기업효율성(33→23위), 인프라(16→11위) 등에서 순위가 올랐다.

특히 기업효율성 분야가 종합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에서 올랐다.

인프라 분야에서도 선전했다. △기본인프라(23→14위) △기술인프라(23→16위) △과학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이 큰 폭 상승했다. 세부 지표 가운데선 △유통인프라 효율(8→3위) △우수 엔지니어 가용성(47→29위) △대학교육지수(22→12위) 등의 순위가 올랐다.


반면 경제성과(14→16위)와 정부효율성(38→39위) 순위는 내려갔다. 경제성과 분야에선 △성장률(44→34위) △투자(총고정자본형성, 51→40위) 등 국내경제(11→7위) 부문 순위가 상승했지만 △국제무역(42→47위) △국제투자(32→35위)부문이 하락했다. 세부 지표로 보면 △무역수지(54→49위) 순위는 상승했지만 △민간서비스수지(38→62위) 순위가 하락했다. 여행수지 악화 등이 영향을 줬다.
정부효율성 분야에선 △재정(40→38위) △제도여건(33→30위) △기업여건(53→47위) △사회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상승했지만 조세정책(26→34위) 부문 순위가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정부부채 실질증가율(56→43위)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24→20위) 순위 등 재정건전성 지표는 좋아졌지만 △GDP 대비 총 조세(32→38위) △소득세(35→41위) △법인세(48→58위) 등 조세부담 증가 등에선 순위가 내려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