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또 요소수 수출중단…이번엔 "대란 없다" 이유는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2024.06.18 15:11
글자크기

4월 수출 재개하자 중국 내 가격 또 급등…"내수 안정 목적"

[안산=뉴시스] 김종택 기자 = 중국 당국이 한국으로의 산업용 요소 수출 통관을 보류한 가운데 6일 경기도 안산시 금성이엔씨 요소수 생산공장에서 요소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김종택[안산=뉴시스] 김종택 기자 = 중국 당국이 한국으로의 산업용 요소 수출 통관을 보류한 가운데 6일 경기도 안산시 금성이엔씨 요소수 생산공장에서 요소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김종택


중국 정부가 이달 다시 요소수 수출길을 막았다. 지난해 말부터 올 4월 중순까지 요소 수출을 중단한지 두 달여 만에 다시 수출 통제다. 수입선 다변화로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중국화학비료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요소 수출을 임시 잠정 중단했다. 업계 전문 온라인플랫폼 화학비료망에서 활동하는 분석가 탄쥥잉은 "국내 시장 공급 압박이 더해진 데다 공급 보장·가격 안정 정책이 있어 요소 수출은 단기간 안에 풀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중국 내에선 지난 4월부터 요소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다. 4월 대비 최근까지 15% 가량 가격이 오른 것으로 전해져 중국 정부가 국내 수급 안정 대책 마련에 긴급히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요소 생산업체들의 수출 통제도 다시 시작됐다.

중국이 지난해 12월 실시했던 수출 중단도 명분은 비슷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총 425만톤이었던 요소수출량을 올해 80% 가량 줄인다고 밝혔다. 늘어나는 국내 수요를 먼저 충족해야 한다는 거였다. 실제 수출로 인해 국내 요소공급이 줄어들자 당시 중국 내에서 요소 유통가격이 천정부지로 뛰었다.



중국에 90% 이상 절대적으로 의존했던 한국에서는 곧바로 요소수 대란이 일었다. 당장 주요 운송수단인 화물차들의 운행이 차질을 빚었고 요소비료 등의 수급에도 적잖은 충격이 있었다.

중국은 지난 4월 요소수출을 재개했지만 가격은 곧바로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중국화학비료망에 따르면 지난 4월 초 산둥성과 허베이 지역 요소가격은 한화로 톤당 약 37만원 선이었다. 그러던게 5월 중순 약 44만원까지 올랐다. 6월 들어 수출이 막히고 국내 공급물량이 떨어지면서 이 가격은 다시 약 42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내 요소가격이 수출과 기민하게 연동하면서 빠른 시일 내 수출이 정상화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가뜩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식량안보를 강조하는 터다. 이상기후로 인한 가뭄과 집중호우의 불규칙한 반복도 중국 지도층을 불안하게 한다. 농업생산성과 직결되는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가 확대될 수 있다는 거다.


한편 갑작스런 요소 수출 제한에도 국내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요소 쇼크를 겪은 국내 기업들이 올 들어 베트남과 카타르 등으로 수입선을 다변화했다. 지난해 한국의 산업용(차량용 포함) 요소 수입 물량 중 중국비중은 88.1%였지만 올 1~5월엔 13%까지 내려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