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괭이 든 북한군, 휴전선 또 넘었다…"지뢰 심다 폭발 사고도"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4.06.18 11:38
글자크기

[the300] 지난 9일에 이어 두 번째 침범, 일부 병력 무장 상태
"군 경고사격 이후 북으로…北, 전방 지뢰매설 중 사상자 발생"

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대규모 병력이 최전방 지역에 이동하고 있는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대규모 병력이 최전방 지역에 이동하고 있는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


북한군 수십명이 18일 오전 8시30분쯤 군사분계선(MDL·휴전선)을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북으로 돌아가는 일이 벌어졌다. 최전방 지역 내 지뢰매설 작업을 위한 전초 작업일 수 있다는 게 군 당국의 판단이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작업을 하던 북한군 일부가 MDL을 약 20m 침범했고 우리 군의 경고방송과 경고사격 이후 북상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MDL을 침범한 북한군은 삽과 곡괭이 등 작업 도구를 들고 있었고 일부 병력은 무장상태였다고 한다.



이번 침범은 지난 9일에 이어 9일 만에 자행됐다. 당시 북한군 약 20~30명은 중부전선 DMZ 내에서 작업을 하던 중 MDL을 약 50m 침범한 바 있다. 당시에도 북한군은 일부 병력은 총기를 들고 있었고 우리 군의 경고사격 이후 즉각 북으로 퇴각했다. 이번 침범은 북한군의 지뢰매설, 대전차 방벽 설치 등의 작업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지뢰매설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지뢰매설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
합참 관계자는 "북한군은 지난 4월부터 북방한계선(NLL) 등 전선지역에서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고 있다"며 "경계력 보강을 위해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이어 "북한군은 전선지역 일대 불모지 조성과 지뢰작업 간 수차례의 지뢰폭발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이러한 활동은 북한군과 북한 주민의 월남과 귀순 차단 등 내부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앞으로 북한이 작업 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군은 전선지역 일대 우발상황 발생에 대비해 북한군의 활동을 면밀히 추적 중이다. 과거 북한은 최전방 지역에서 단순 월선을 가장해 우리 군의 대응태세를 떠본 뒤 기습 도발을 자행해왔다.

이번처럼 북한군이 육상을 통해 우리 영토를 침범했다가 경고사격 후 퇴각한 전례는 2015년 7월 12일에 있었다. 당시 한 달 뒤인 2015년 8월 4일 경기도 파주시 육군 1사단 부사관 2명이 DMZ에서 북한군의 목함지뢰를 밟아 중상을 입었다. 이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대북확성기 방송을 재개하자 북한군은 확성기를 겨냥해 총을 쐈고 우리 군도 맞대응 차원에서 경고 포사격을 실시했다.


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교량작업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가 18일 공개한 북한군 교량작업 모습. / 사진=합동참모본부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