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상승률, 완만한 둔화세…하반기 중 2.5% 아래로"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2024.06.18 14:00
글자크기
 사진은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사진=뉴스1 사진은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사진=뉴스1


올해 들어 근원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모두 2%대로 내려왔다. 서비스 물가를 중심으로 물가 상승 흐름이 진정되는 모습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가 하반기 중에는 2.5%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5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로 지난해 하반기(3.3%) 대비 0.4%포인트(p) 낮아졌다.



2~3월에는 농산물 가격, 국제 유가, 원/달러 환율 상승 등 영향으로 3%를 웃돌았지만 4월 이후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되면서 3% 아래로 내려왔다.

같은 기간 근원물가 상승률(2.4%)도 지난해 하반기(3%) 대비 0.6%p 낮아졌다. 서비스 물가를 중심으로 상승모멘텀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기준 2.2%까지 내려왔다.



근원물가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 농산물이나 일시적인 외부 충격으로 급격하게 가격이 오르내리는 석유류 등을 제외한 물가를 의미한다.

품목별로 보면 농산물가격은 최근 둔화세를 보이지만 지난해 하반기보다는 높은 편이다. 석유류 가격도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으로 물가를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기·가스·수도요금도 지난해와 달리 상반기중 동결되면서 물가를 눌렀다.

/사진=한국은행/사진=한국은행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추세적으로 완만한 둔화 흐름이 예상된다. 한은은 "최근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등의 둔화 흐름 등을 볼 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경로대로 완만한 둔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반기중에는 2.5%를 밑도는 수준으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국내외 경기흐름, 기상여건 등과 관련해 불확실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국내 평균기온 상승은 농산물가격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국제 곡물가격은 물가 변수가 되는 대외 요인이다.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 차질 등으로 코코아나 커피 등의 가격 변동성이 커진 점이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한다.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1분기 민간소비가 전기대비 0.7% 큰폭 올랐지만 한은은 일시적 영향이라 판단했다. 실제 GDP(국내총생산)와 잠재 GDP의 차이인 'GDP갭'도 올해는 마이너스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정부정책도 물가 변수 요인이다. 그동안은 전기·도시가스요금 동결, 유류세 인하 조치 등이 물가 상승압력을 완화했기 때문이다. 공공요금이 단계적으로 인상되고 유류세 인하조치가 단계적으로 환원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기조적 물가 흐름과 물가 상승모멘텀도 둔화세를 보인다. 한은은 "기조적 물가 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경기, 임금, 기대심리 등과 관련된 지표들도 둔화하거나 낮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며 "성장세가 확대됐지만 순수출 영향이 컸던 만큼 성장률 확대에 따른 추가적인 물가 압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한은은 기업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한은은 "최근 발표된 가격인상 품목의 소비자물가 내 비중이 3.3% 수준으로 작고 일부 업종에 국한돼 직접적인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