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전문의들 "전면 휴진 고려…의협 요구사항 거절에 유감"

머니투데이 정심교 기자 2024.06.17 23:59
글자크기

(상보)
"17일부터 국립암센터 병동 최대한 가동하겠다" 정부 발표 다음 날 비대위 성명

한덕수 국무총리가 3일 의사 집단행동 대비 현장점검차 경기 고양 일산동구 국립암센터를 방문, 항암치료를 받는 학생을 격려하고 있다.  이날 한 총리는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따른 일선 병원의 대비 태세를 점검했으며, 또한 암 병동 환자들을 만나 비상 진료 체계 점검 및 의사ㆍ환자의 의견을 청취했다  앞서 한 총리는 서울대 의과대학 간담회를 통해 의료계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 환자단체인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를 방문해 의사 집단행동 상황에 대한 건의 사항을 청취하기도 했다. /사진=임한별(머니S)한덕수 국무총리가 3일 의사 집단행동 대비 현장점검차 경기 고양 일산동구 국립암센터를 방문, 항암치료를 받는 학생을 격려하고 있다. 이날 한 총리는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따른 일선 병원의 대비 태세를 점검했으며, 또한 암 병동 환자들을 만나 비상 진료 체계 점검 및 의사ㆍ환자의 의견을 청취했다 앞서 한 총리는 서울대 의과대학 간담회를 통해 의료계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 환자단체인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를 방문해 의사 집단행동 상황에 대한 건의 사항을 청취하기도 했다. /사진=임한별(머니S)


국립암센터 전문의들이 정부의 의대증원책에 반발하며 '전면 휴진'에 돌입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 16일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휴진에 대비해 "17일부터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겠다"고 16일 언급한 것과 대립각을 보인 것이다. 특히 지난 16일 정부가 대한의사협회의 3대 요구사항에 대해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게 부적절하다"며 거절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국립암센터 전문의 비상대책위원회(이하, 국립암센터 비대위)는 17일 밤 11시30분경 '대정부 성명서'를 내고 "국립암센터에서 진료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 공급자인 동시에 의학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자로서, 비과학적인 의대 정원 증원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국립 의료기관 가운데 정부에 반기를 든 건데, 이례적이다.



비대위에 따르면 이들은 15~17일 3일간 투표를 진행했는데, 국립암센터 소속 전문의 148명 중 110명(응답률 74.3%)이 응답했다. 이 가운데 95.5%는 "현 정부의 방침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18일 예정된 전국 의사 휴진에 앞서 지난 16일 대한의사협회가 제안한 세 가지 요구사항을 지지한다"고 했다. 의협은 의대정원 증원안을 재논의할 것,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을 수정·보완할 것, 정부가 일방적으로 통보한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과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 처리 위협을 중단할 것을 요구사항으로 내걸었다.



비대위는 "전공의 사직 이후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 100시간에 육박하는 진료부담을 감당해 여력이 없음에도, 추가적인 인력과 예산 지원 없이 국립암센터 병상을 확대 가동하겠다는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탁상행정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투표 결과에서 응답자의 49.5%는 "현 정부의 방침에 항의 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중환자실·응급실을 제외하고 전면 휴진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 비대위 곽호신(신경외과) 비상대책위원장은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본 비대위를 중심으로 국립암센터에선 점진적으로 휴진이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곽호신 비대위원장은 "우리의 결의는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의 붕괴를 막기 위한 전문가로서의 책임감의 발로이며, 헌법이 보장하는 직업 선택과 집회 결사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국민으로서의 정당한 주장임을 천명한다"고 했다.


또 "상기 요구사항에 대해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게 부적절하다는 16일 복지부의 입장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