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부동산' 시대…달나라 신도시 MOON 열린다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2024.06.18 05:36
글자크기

김경자 국가우주위원(지질硏 우주자원개발센터장) 인터뷰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우주자원개발센터장이 지난 14일  '감마선분광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우주자원개발센터장이 지난 14일 '감마선분광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제공=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세계 우주청 및 우주산업 관계자는 '우주부동산' 준비에 한창입니다. 우주자원의 소유권을 논하는 '우주법 제정'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한국도 초기단계부터 참여해 영향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우주자원개발센터장은 지난 13일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자원연) 본관에서 진행된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한국 우주정책이 발사체 개발뿐만 아니라 우주물리·행성지질 등 우주과학에도 균형 있게 투자되도록 수립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센터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우주항공청(KASA·이하 우주청) 개청식 및 제1차 국가우주위원회에서 국가우주위원에 위촉됐다. 국가우주위원회는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 프로젝트인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의 일원으로 근무하는 등 국제 공동연구에도 잔뼈가 굵은 그는 또 "세계 유수의 연구실에서 대를 이어 전해지는 '전술'은 쉽게 얻을 수 없다. 명망 높은 연구자를 길러내되 한국이 국제 프로젝트에 지속해서 이름을 올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프로젝트에 몸담고 있던 김 센터장은 2007년 이명박정부의 초청으로 귀국했다. 정부가 달의 환경 및 자원탐사를 위한 '국제달네트워크(ILN) 사업'에 참여키로 했지만 국내에서 마땅한 적임자를 찾지 못해서였다. 김 센터장의 연구분야인 '행성지질학'은 당시 이름조차 생소했다. 그의 귀국으로 지질자원연에 소규모 행성지질연구실이 만들어졌다.

김 센터장 연구팀이 '우주자원개발센터'로 격상된 것은 1년6개월 전이다. 연구팀은 2022년 한국 최초 달궤도 탐사선 '다누리호'에 감마선분광기(KPLO Gamma-Ray Spectrometer·KGRS)를 실어 보냈다. KGRS는 우주에서 감마선을 포착해 달 표면에 존재하는 원소의 종류를 파악하는 연구기기다. 김 센터장은 "KGRS가 달 궤도를 360도 돌며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해 미래 우주자원 탐사의 기반이 될 '달원소지도'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 탐사선 '창어6호'가 세계 최초로 달 뒤편의 토양·암석샘플을 채취해 화제가 됐지만 한국은 KGRS를 통해 이미 전체 달 표면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원소의 종류를 확보한 셈이다.

KGRS 개발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것은 김 센터장이 국제학계와 쌓은 긴밀한 네트워크다. 그는 "아무리 연구에 깊이 관여한 과학자라 해도 현장기술자의 노하우 없이 우주탑재체를 만들 순 없다"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미국에서 함께 연구한 학자·현장기술자와 끊임없이 이야기한 끝에 노하우를 전수받았고 이를 국내 분광기 제작업체에 전했다. 우주 관련 기기를 만들어본 적 없는 업체였지만 처음으로 고성능의 우주탐사 기기를 만드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


김 센터장은 "글로벌 R&D(연구·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졌지만 실질적인 국제교류가 이뤄지기 위해선 △국제적 명성을 확보한 연구자 △협의실무자의 연구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지속적인 국제 공동프로젝트 참여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 연구팀은 최근 인류 최초 달정거장 '루나게이트웨이'에 거주하며 화성탐사를 준비하는 NASA '아르테미스Ⅳ 프로그램'에 참여의향서를 냈다. 한국에서 아르테미스Ⅳ 탑재체 공모에 이름을 올린 것은 김 센터장 연구팀이 유일하다. 김 센터장은 우주의 자원 유망지를 사고파는 '우주부동산' 시대가 머지않아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우주법' 제정 등 우주자원의 소유권을 논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고 한국도 초기단계부터 참여해 영향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센터장은 "한국은 '누리호' 발사를 통해 발사체 자체개발 능력을 입증했기 때문에 국제협력이 전보다 쉬워질 것"이라면서도 "발사체에만 주력하다 보니 우주물리 등 우주 관련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가 적었고 그에 따라 젊은 우주과학자가 부족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주시대를 위해 우주청이 해야 할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젊은 우주과학 연구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