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변동금리 0.02%P 오른다…코픽스 6개월만 상승

머니투데이 김도엽 기자 2024.06.17 15:11
글자크기
지난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5%로 전월(3.54%)보다 0.0%포인트(P) 상승했다./자료=은행연합회지난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5%로 전월(3.54%)보다 0.0%포인트(P) 상승했다./자료=은행연합회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변동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6개월만에 올랐다. 은행권 예금금리 등이 소폭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56%로 전월(3.54%)보다 0.02%포인트(P) 상승했다.



코픽스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4월까지 5개월 연속 떨어졌는데 지난달 6개월만에 오른 것이다. 코픽스 하락 폭이 지난해 12월(0.16%P), 올해 1월(0.12%P), 2월(0.04%P), 3월(0.03%P), 4월(0.05%P) 등 축소되는 흐름을 보이며 최근 상승 전환 가능성이 점쳐졌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코픽스가 오르면 그만큼 은행이 많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했다는 의미다. 은행들이 지난달 실제 취급한 예·적금과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가 전월과 비교해 인상됐고 이를 반영해 코픽스가 상승했다는 뜻이다.



코픽스는 은행권 주담대와 전세대출 변동형 상품 금리의 준거금리가 돼 대출금리가 인상될 예정이다. 당장 다음 영업일인 18일부터 코픽스를 대출금리에 직접 반영하는 KB국민·우리은행은 주담대와 전세대출 변동형 상품의 금리를 0.02%P 높인다.

다만 최근 몇달 사이 은행권의 예금금리는 3.5%대에서 횡보하고 있어 향후 코픽스 금리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전망이다. 아울러 코픽스 금리와 달리 은행권 주담대 고정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지난달부터 하락세다.

한편 잔액 기준 코픽스는 전월보다 0.02%P 낮아진 3.74%를 기록했고,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전달에 견줘 0.03%P 오른 3.20%로 나타났다.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해당 월 중 신규로 조달한 자금을 대상으로 산출됨에 따라 시장금리 변동이 신속히 반영되지만, 잔액 및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상대적으로 시장금리 변동이 서서히 반영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