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전공의 처분 취소·의대정원 재조정 등 '무기한 휴진' 중단 조건 제시

머니투데이 박정렬 기자 2024.06.17 11:43
글자크기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공의, 의대생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휴진 결의 집회에서 손펫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50% 이상이 전공의 사태 등의 해결을 요구하며 집단 휴진에 나섰다.2024.6.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공의, 의대생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휴진 결의 집회에서 손펫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50% 이상이 전공의 사태 등의 해결을 요구하며 집단 휴진에 나섰다.2024.6.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17일부터 무기한 전면 휴진에 돌입한 서울대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서울대의대 비대위)가 이번 휴진 철회를 위해 총 3가지 요구안을 정부에 제시했다.

이날 서울대의대 비대위는△전공의는 범법자가 아니며 직업 자유권이 있는 만큼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을 완전히 취소할 것 △정권과 공무원의 임기와는 무관하게 의료 현장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상시적 의정협의체'를 만들어 줄 것 △2025년 의대 정원은 교육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재조정하고 2026년 이후 정원은 근거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기준 아래에 다시 논의할 것 이 세가지 조건을 내세웠다.



방재승 전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실질적인 조치를 위한 가시적인 변화를 보여주면 서울대의대 비대위는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 휴진을 철회할 준비도 돼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의대 교수의 행동은) 전공의와 의대생만 위하는 게 아니다. 이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한국 의료는 붕괴한다는 것을 확실히 알기 때문에 3개월간 정부와 국민에게 수도 없이 말씀드렸다"며 "정부가 귀를 닫고 말을 들어주지 않으니 마지막 카드가 전면 휴진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강희경 비대위원장과 오승원 비대위 홍보팀장, 방 전 비대위원장 등 서울대 의대 교수 20여명이 참석했다. 의대생과 전공의 30여명은 대부분 마스크를 쓰고 검은 옷을 입은 채 배석했다.



이들은 "외면받는 현장소리 진심없는 의료정책", "근거없는 의료정책 망해가는 한국의료" "15분 진료, 의사도 원한다 제대로된 의료전달체계 확립하라" "즉흥적인 의료정책 의료붕괴 촉진한다" 등이 써진 피켓을 들고 의대정원 증원과 전공의 행정처분 등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구호를 외쳤다.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공의, 의대생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휴진 결의 집회에서 손펫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50% 이상이 전공의 사태 등의 해결을 요구하며 집단 휴진에 나섰다.2024.6.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공의, 의대생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휴진 결의 집회에서 손펫말을 들고 있다. 이날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50% 이상이 전공의 사태 등의 해결을 요구하며 집단 휴진에 나섰다.2024.6.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서울대의대 교수 비대위는 지금까지 대안을 제시하려고 노력해왔다. 정부에 중재안을 제시했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안하고 물밑 접촉도 수없이 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6월까지 상황은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정말인지는 모르지만, 전공의들이 곧 면허정지 위험에 처했다는 소식을 접해 교수들이 뜻을 모으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문가 집단의 의사를 무시하는 상황, 정부의 의료정책, 3개월간 몸을 갈아 넣은 의료환경을 더는 견딜 수 없고 못하겠다는 게 교수들의 의견"이라며 "정부의 정책 의료를 유지하는 정책이 아니라 온몸으로 (반대를) 부르짓는 것"이고 강조했다. 강 비대위원장은 뒤이어 자신이 돌봤던 환자에게 편지글로 휴진에 참여하는 속마음을 밝힌 곽재건 소아흉부외과 교수의 발표를 듣다 눈물을 쏟기도 했다.


서울대의대 비대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산하 4개 병원(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강남센터)은 6월 17~22일 외래 휴진·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등 전면 휴진에 돌입했다. 이번 휴진은 진료를 보는 교수 967명 중 529명(54.7%)이 참여한다.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과 비교해 60% 수준으로 유지되던 수술장 가동률은 30%대로 절반가량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입원실과 중환자실 등 중증·응급 환자나 입원 환자는 그대로 돌보고, 예약 변경을 공지 받지 못했거나 약 처방을 받아야 하는 환자에게는 진료실을 연다고 비대위는 밝혔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서울대 의대 산하 4개 병원 휴진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2024.06.16. photocdj@newsis.com /사진=최동준[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서울대 의대 산하 4개 병원 휴진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2024.06.16. [email protected] /사진=최동준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가 서울대의대가 무기한 전면 휴진에 돌입한 17일 오전 서울대의대에서 열린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박정렬 기자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가 서울대의대가 무기한 전면 휴진에 돌입한 17일 오전 서울대의대에서 열린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박정렬 기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