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우처, 블록체인 기술 도입한다…공공·민간 14개 과제 선정

머니투데이 성시호 기자 2024.06.17 12:00
글자크기
정부 바우처, 블록체인 기술 도입한다…공공·민간 14개 과제 선정


정부가 교육·문화·복지 바우처와 구직자 서류 등 공공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다. 민간에서 제안한 블록체인 사업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4년 블록체인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 발굴을 위한 공공분야 과제 6건과 기업 사업의 상품화를 지원하는 민간 분야 과제 8건에 총 2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 분야의 'CBDC(중앙은행발행디지털화폐)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사업에 30억원을 투입한다. 그간 종이상품권·카드 등으로 지급돼 복잡한 정산과정을 수반하던 교육·문화·복지 바우처를 CBDC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한국은행은 이번 사업을 통해 CBDC의 활용성을 시험할 예정이다.

마찬가지로 30억원이 투입될 예정인 '디지털배지 기반 통합 취업지원서비스' 사업에서 한국고용정보원은 구직 관련 자격증·학력·경력·교육이수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 발급하고 취업포털과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민간 분야 '웹2 서비스·기업을 위한 웹3 포털' 사업은 블록체인 전문 인력·기술 없이 API(앱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로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밖에 정부는 공공 분야 과제로 선정된 △고등평생교육 디지털배지 플랫폼 △공공비축미 수매 종합플랫폼 △사서증서 인증과 공증문서 보관체계 구축 △자원순환을 위한 환경실천 통합 멤버십 사업에 각각 10억원 안팎의 예산을 투입한다. 민간 분야 과제로는 △소상공인 점포 경영관리·금융지원 플랫폼 △이모빌리티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플랫폼 △보안이 내재된 서비스형 전자지갑 등 7건의 사업을 진행한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블록체인 지원사업은 공공 마이데이터 확대, 디지털기술을 통한 페이퍼리스화와 같이 더 편리한 정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에 부합하는 사업"이라며 "글로벌 시장에도 선보일 수 있는 혁신서비스를 발굴·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