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 감독 퇴장 부른 '주루방해' 논란, 비디오판독 대상 포함됐다

스타뉴스 신화섭 기자 2024.06.17 10:51
글자크기
이승엽(오른쪽 2번째) 두산 감독이 지난 4일 창원 NC전 9회초 비디오 판독을 통한 판정 번복에 항의하고 있다. /사진=OSEN이승엽(오른쪽 2번째) 두산 감독이 지난 4일 창원 NC전 9회초 비디오 판독을 통한 판정 번복에 항의하고 있다. /사진=OSEN


이승엽(48) 두산 감독의 퇴장으로 논란이 됐던 '주루방해' 여부가 비디오 판독 대상에 포함됐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7일 "야수의 베이스를 막는 행위로 인한 주루방해 행위 여부가 18일 경기부터 비디오 판독 대상 플레이에 추가된다"고 발표했다.

KBO는 "제3차 실행위원회에서 선수 부상 방지를 위해 주자의 주로를 몸으로 막는 행위에 대한 규정 보완을 논의했으며, 수비하는 야수가 베이스를 막는 행위로 주자의 주로를 막는 경우 적극적으로 주루방해 판정을 내리기로 했다"며 "단, 명백한 아웃 타이밍 상황은 제외된다"고 밝혔다.



이어 "판정과 더불어 비디오 판독 대상 플레이에도 추가돼 누상에서 아웃, 세이프 비디오 판독 시 야수의 베이스를 막는 행위로 인한 주루방해 여부도 포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4일 창원 두산-NC전에서는 주루방해를 둘러싼 논란 끝에 이승엽 감독이 퇴장을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날 경기 1-0으로 앞선 두산의 9회초 공격 1사 1루 조수행 타석에서 1루 주자 이유찬이 2루 도루를 시도했다. NC 포수 박세혁의 송구를 받은 유격수 김주원이 태그를 했으나 판정은 세이프였다. 이에 NC 벤치는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고 심판진은 이를 받아들였다.



그런데 이 비디오 판독은 애초에 실행될 수 없었다. 이용혁 2루심이 주루방해에 의한 세이프 판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당시 규정에 따르면 비디오 판독 대상으로는 14가지의 플레이가 있는데, 주루방해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심판진이 이를 받아주지 않아야 했으나, 비디오 판독이 이뤄진 것이다. 결국 3분의 비디오 판독 제한 시간을 다 쓰고 나서야 KBO 비디오판독센터는 이유찬의 태그아웃으로 판정을 번복했다.

지난 4일 창원 경기에서 두산 이유찬(오른쪽)이 2루 도루를 시도하다 NC 유격수 김주원에게 태그되고 있다. /사진=OSEN지난 4일 창원 경기에서 두산 이유찬(오른쪽)이 2루 도루를 시도하다 NC 유격수 김주원에게 태그되고 있다. /사진=OSEN
그러자 이승엽 감독이 더그아웃을 박차고 나와 심판진과 한참을 실랑이하며 판정에 항의했다. 결국 '비디오 판독 결과에 대해 어필할 시 퇴장'이라는 규정에 따라 이 감독은 퇴장당했고, 남은 경기는 박흥식 수석코치가 지휘봉을 잡았다.

두산은 이유찬의 도루 실패 후 조수행의 안타와 정수빈의 볼넷으로 다시 주자가 나갔지만 결국 점수를 올리지 못했다. 이어 9회 말 홍건희가 박건우에게 적시타를 맞고 1-1 동점이 됐다. 만약 이유찬이 그대로 도루가 인정됐다면 연장까지 가지 않았을 수도 있는 경기였다. 하지만 두산은 연장 10회 초 김재호의 결승 내야안타와 김기연, 전민재의 연속 적시 2루타로 3점을 올려 4-1로 승리했다.


비디오 판독을 실시할 때 판독센터와 소통하는 헤드셋은 심판조장(전일수)과 판정을 내린 심판(이용혁)이 함께 쓴다. 이용혁은 2루심은 수비방해 판정을 내리고도 비디오 판독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지 못한 채 그대로 진행하고 말았다. 이에 KBO는 5일 경기를 앞두고 전일수, 이용혁 두 심판에 대해 "비디오 판독 대상 플레이를 잘못 적용하여 혼란을 초래했다"며 규정 벌칙 내규에 의거해 각각 50만원의 벌금 및 경고 조치했다.

이런 논란의 재연을 방지하고 주루 플레이시 선수를 보호하기 위해 KBO는 주루방해 여부를 비디오 판독 대상에 포함시키키로 결정한 것이다. KBO는 이날 "이와 같은 실행위원회의 주루방해 판정 관련 결정 사항에 대해 각 구단에 안내를 마쳤으며 앞으로 선수 보호와 판정의 일관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규정 보완 등의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