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휴진 돌입…"환자의 불안으로 정부 압박" 분노 커졌다

머니투데이 구단비 기자 2024.06.17 09:34
글자크기
서울대 의대 산하 4개 병원 휴진을 하루 앞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서울지부의 휴진 계획 철회 성명서가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서울대 의대 산하 4개 병원 휴진을 하루 앞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서울지부의 휴진 계획 철회 성명서가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의료계가 전면 휴진에 돌입한다고 밝힌 가운데 환자단체가 의료계의 휴진 철회를 다시 한번 요구했다. 환자단체는 의료계가 주장하는 '의대증원 원점 재논의'에 대해서도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환자단체연합회는 17일 입장문을 통해 "대한의사협회가 '3대 요구안'을 제시하고 이를 조건으로 집단 휴진 강행 또는 철회를 언급한 것에 대해 연합회는 깊은 유감"이라며 "의협의 3대 요구안 내용과 집단 휴진 강행 여부 결정방법은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시작된 지난 넉 달간의 의료공백 기간 동안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해왔던 환자들의 치료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일절 없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의협은 정부에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처분의 소급 취소,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을 제시하고 답변을 요구했다.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오는 18일부터 집단 휴진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또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예정대로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연합회는 "의료정책의 수혜자이자 주체여야 하는 환자들은 현시점에서 의대정원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지난 수십 년간 의대정원 증원 관련 사회적 논의가 진행될 때마다 의료계는 언제나 반대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협의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했다.



이어 "만일 그것(반대)이 아니라면 의협은 원점 재논의를 요구할 것이 아니라 정부와 국민을 향해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공론의 장을 열자고 제안했어야 한다"며 "그러나 의협은 의료계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그 와중에 의료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책무는 실종되다시피 했다"고 지적했다.

연합회는 서울의대 비대위를 향해서는 "서울의대 비대위 입장문에는 의협과 달리 의료공백 장기화 사태에 불안한 환자의 상황과 처지를 고려한 내용이 포함돼있다"며 "그러나 의도와 진심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해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연합회는 "(전공의 미복귀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의대교수 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고 환자안전도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연합회는 "의협과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휴진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며 "환자는 의대정원 숫자,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추진 관련해 아무런 잘못이 없다. 그런데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보아야 하냐"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미 아프고, 두렵고, 힘든 환자들에게 집단 휴진, 무기한 전체 휴진으로 또다시 고통과 불안과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며 "환자는 집단 휴진, 무기한 전체 휴진을 무기로 삼는 의사를 도와줄 수도 함께할 수도 없다. 지금 여기에 의사가 필요한 환자가 있다면 의사는 바로 그곳에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회에는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GIST(위장관기질종양)환우회, 한국신장암환우회, 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 암시민연대, 한국건선협회,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한국신경내분비종양환우회, 한국PROS환자단체 등이 속해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