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교육장관 모여 '디지털 교육·청년 교류' 논의

머니투데이 정인지 기자 2024.06.15 17:08
글자크기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K-클라우드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개발과 교육 현장 적용을 통해 성공적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환경을 조성하고 클라우드·저전력 인공지능(AI) 반도체 활용을 촉진하고자 마련됐다. 2023.10.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K-클라우드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개발과 교육 현장 적용을 통해 성공적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환경을 조성하고 클라우드·저전력 인공지능(AI) 반도체 활용을 촉진하고자 마련됐다. 2023.10.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가 4년 5개월만에 서울에서 열렸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 간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는 디지털 대전환, 캠퍼스 아시아 사업 성과 공유 등이 주요 의제다.

교육부는 15일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주호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의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다. 2016년 한국에서 제1회 회의가 개최된 이후, 한·일·중 순서로 3국이 순환 개최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는 청년세대 간 교류를 통해 상호 우호를 증진하고 3국의 협력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 바 있다.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3국 미래교육 협력 강화 방안 △미래 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3국 협력 방안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 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이다. 회의 결과는 3국 장관의 서명이 담긴 '2024 한·일·중 교육혁신 선언'으로 발표됐다.

3자 회의에 앞서, 일본 및 중국과의 양자 회의도 진행했다. 한·일 양자 회담 주요 의제는 △한·일 인적교류 활성화 방안 △저출생 및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양국 정책 공유 및 협력 방안 △한·일 대학총장 포럼 활성화 등이다. 특히 한·일 양국은 한·일 정상회의 후속조치로 추진 중인 '한·일 미래 청년세대 교류 활성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한·중 양자 회담에서는 △디지털 교육정책 공유 및 양국 협력 방안 △정부초청 장학생 상호 파견 확대 등 고등교육 교류 활성화 방안 △한.중 양국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고, 양국 간 청년교류 확대와 내실화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3국의 미래 세대들이 디지털 대전환 및경계가 모호해지는 빅 블러 시대에 변화를 선도하고 세계 공동의 문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 중국 정부와 함께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교류와 협력 증진을 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