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수준 규제도 걱정 없다…업비트, 이용자 자산보호 앞장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2024.06.14 09:14
글자크기
업비트 로고 /사진=두나무업비트 로고 /사진=두나무


국내 가상자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가상자산 거래소에도 금융권에 준하는 규제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규제가 마련되기 전부터 이용자 자산 보호를 위한 '3無(무) 정책'(자산 운용·출금 걱정·서비스 중단 없음)을 운영하며 선제 대응에 앞장서고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최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거래 규모는 649조원, 거래 이용자 수는 645만명에 달한다.



지난해 하루인베스트가 이용자에게 예치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가상자산 운용의 위험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하루인베스트 사태 이후 금융위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라 앞으로 제3자에게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맡기는 예치·운용업은 금지한다고 밝혔다.

업비트는 이런 규제가 마련되기 이전부터 가상자산 거래·스테이킹 등 모든 서비스 운영 과정에서 예치되는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일절 운용하지 않고 있다. 특히 스테이킹 서비스는 외부 업체를 통하지 않고 100% 자체 운영 중이다.



또한 업비트는 2018년부터 정기적으로 외부 회계법인을 통해 회사 보유 자산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며 디지털 자산·예치금 실사보고서를 공개하고 있다. 이용자가 예치한 자산 이상의 충분한 수량을 보유하고 있어, 업비트 이용자는 언제든지 거래소에 맡겨둔 자산을 출금할 수 있다.

실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 기준, 업비트는 이용자에게 지급해야 할 가상자산 대비 약 102%(금액 기준)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예치금의 경우 이용자에게 지급할 금전 대비 103%의 금전을 보유했다.

해킹을 비롯해 화재·지진 등 재난·재해 발생에도 대비하고 있다. 다음 달 19일 시행되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령에 따르면 거래소는 이용자의 가상자산 중 80% 이상을 인터넷과 분리된 콜드월렛에 보관해야 한다. 콜드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된 핫월렛보다 해킹 위험성이 적다. 업비트는 출범 초기부터 이보다 높은 비율로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콜드월렛에 보관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진·화재·태풍 등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때 업무가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ISO 22301' 인증도 획득한 상태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 관계자는 "업비트는 규제에 앞서 선제적으로 이용자 자산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왔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거래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