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노조 "진료 연기, 예약 취소 '강제 동원' 일절 거부"

머니투데이 박정렬 기자 2024.06.13 11:18
글자크기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의대 증원을 놓고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빅5 병원 중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이 주1회 휴진에 돌입한 3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이날 하루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한다.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다음 달 3일부터 매주 금요일 외래진료와 수술을 멈춘다. 2024.04.30. bluesoda@newsis.com /사진=김진아[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의대 증원을 놓고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빅5 병원 중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이 주1회 휴진에 돌입한 3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이날 하루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한다.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다음 달 3일부터 매주 금요일 외래진료와 수술을 멈춘다. 2024.04.30. [email protected] /사진=김진아


세브란스병원 노동조합(이하 세브란스병원 노조)이 전날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휴진, 2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직을 결정한 데 대해 진료 연기, 예약 취소 등 관련 업무를 '보이콧'하겠다고 선언했다. 집단행동으로 파생된 업무는 일절 거부하겠다는 것으로, 연세대의료원의 대응에 따라 무급휴가 수용 등 비상경영체제 유지를 위한 지금까지의 협조도 재고할 것이라 밝혔다.

세브란스병원 노조는 12일 입장문에서 "어떤 경우, 어떤 대안도 의대 증원이 전제되지 않은 해법은 없다"며 "대안도 없고, 사회적 공감대도 얻지 못한 채 증원 저지만을 되풀이하며 집단행동을 강행하고 있다"고 의사들을 비판했다. 세브란스병원 노조는 연세대의료원 산하 강남·신촌·용인 세브란스병원 3곳 노동자의 교섭대표로 조합원 수가 5500명에 이르는 의료계 최대의 단일 노동조합이다.



노조에 따르면 연세대의대 산하 강남·신촌·용인 등 3개 세브란스병원의 1일 평균 외래 환자는 1만7000여 명, 수술 건수는 500여 건, 입원 환자는 3300여 명에 이른다. 빅5 병원 중 한 곳으로 중증도가 높고 환자 수가 많은 만큼 "휴진 기간만큼 피해는 누적된다"라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노조는 "꿰맞춰 두었던 진료 일정에 중증도·응급성에 따른 재예약과 일정 조정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령 10일간 진료가 중단된 경우 이론상 하루 1만7000여 명, 대략 17만 명의 진료 일정을 단시간에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전공의 집단행동 이후 병원 수익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무급휴가, 병동 폐쇄로 계약직들은 고용불안에 떨고 있다. 재계약, 인력 충원이 늦어지며 운영상 문제도 발생하는 상황이다. 교직원 중 일부는 무급휴가 압력을 받고, 반면 또 다른 구성원은 떠밀려온 업무에 체력적인 한계를 호소한다. 채용이 확정된 간호사 등 의료 인력도 발령받지 못해 '무기한 대기'하는 실정이다.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서 ’2024 의정갈등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평의회, 교수비상대책위원회 심포지엄에서 주제가 스크린에 띄워져 있다. 2024.5.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서 ’2024 의정갈등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평의회, 교수비상대책위원회 심포지엄에서 주제가 스크린에 띄워져 있다. 2024.5.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집단휴진 발표로 진료 연기 통보 업무를 간호사들에게 강제했다가 반대에 부딪히자, 콜센터 등 협력 업체에 이를 강제하려는 시도도 포착됐다고 노조는 전했다.

세브란스병원 노조는 "노사가 현 사태를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지, 의사들의 입장 관철을 위한 부당한 명령에 강제 동원을 허용하는 것이 노사 상생이 아니다"며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피해를 감내하며, 현장을 지키고 있는 병원 노동자들이 동의도 안되는 집단행동으로 파생된 업무에 강제 동원되는 모순된 상황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세브란스병원노조는 진료 연기, 예약 취소 등 집단행동으로 파생된 업무는 일절 거부할 것이다. 협력 업체에 대한 업무지시가 이뤄진다면 무급휴가 수용 등 지금까지의 협조도 되돌릴 수밖에 없다"며 "(의사들은) 집단휴진 결정을 철회하고, 지금 당장 진료에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