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예산 40% '복지'...맞춤형 체계 만든다

머니투데이 경기=이민호 기자 2024.06.12 16:11
글자크기
이동환 고양시장(왼쪽)이 지난 2월 개소한 덕은 다함께 돌봄센터 관계자 및 어린이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고양시이동환 고양시장(왼쪽)이 지난 2월 개소한 덕은 다함께 돌봄센터 관계자 및 어린이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고양시


경기 고양특례시가 적재적소에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맞춤형 복지체계를 구축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먼저 어린이집·다함께돌봄센터 등 보육시설과 출산가구 전월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첫만남이용권 등을 확대한다.

올해 하반기 장항지구와 원당에 신규 국공립어린이집을 설치한다. 다음달 개원하는 장항지구 국공립어린이집은 입주민의 기자재비 자발적 기부로 설치하는 전국 최초 민관협업어린이집이다.



우수한 민간·가정 어린이집이 공공형 어린이집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열린 어린이집도 전체 어린이집의 40% 이상으로 확대한다. 시간제보육기관은 기존 7개 독립반에 통합반 20개를 추가 지정했다.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을 위한 다함께 돌봄센터도 지속 확충한다. 다함께돌봄센터는 현재 중산, 대화, 원당, 향동, 덕은 총 5곳이 있으며 올해 3곳(장항지구 2곳, 화정), 내년 3곳, 2026년 4곳을 신설해 총 15곳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출산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는 '전월세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한다. 대상은 중위소득 150% 이하의 무주택 출산가구 중 전월세 자금 대출을 받는 가구이며, 최대 100만원 한도에서 최대 4년간 대출이자를 지원한다. 지난 3년간 3100가구에 30억4291만원을 지원했다.

자녀 출산시 지원하는 첫만남이용권 금액도 100만원 인상해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출산지원금 사각지대 개선을 위해 넷째자녀 이상에 대한 지원도 대폭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밖에도 노년층의 사회참여와 소득창출을 위해 노인일자리 사업을 확대하고 사회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 저소득층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일자리와 장애인 시설·활동에 대한 지원도 늘린다.


시는 노년층,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사회참여와 소득창출에도 힘쓰고 있다. 시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올해 총 8380명으로 경기도내 시·군 중 최다를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공익활동형 6000명, 사회서비스형 1270명, 시장형 840명, 취업알선형 270명이다.

고양지역자활센터를 거점으로 슈퍼사업단, 세척사업단 등 14개 자활근로사업단을 운영해 경제적 자립 및 사회공동체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는 고양형 복지정책 개발 및 복지사업 추진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을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을 추진 중이다. 올해 7월까지 경기연구원에서 타당성 검토용역을 마친 후 경기도 2차 설립협의를 거쳐 2025년 6월 출범할 예정이다.

이동환 시장은 "전체 예산의 40%에 달하는 복지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시민체감도 향상을 위해 고양시민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출산과 육아, 노인의 사회참여, 저소득층 자립, 장애인 활동지원 등 적재적소에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