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겁게 데었던 카카오, '안산 DC'로 명예회복 나선다

머니투데이 이정현 기자 2024.06.12 12:00
글자크기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제공=카카오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제공=카카오


정신아 카카오 (40,950원 ▲550 +1.36%) 대표가 첫 자체 건립 데이터센터(DC)인 '카카오 DC 안산'을 찾아 "전 국민 일상에 녹아있는 카카오의 수많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드는 핵심 자산"이라며 "가장 안전한 DC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11일 '카카오 DC 안산'을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내 위치한 DC 안산은 연면적 4만7378㎡ 규모로 4000개의 렉, 총 1만대의 서버를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6EB(엑사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준공해 올해 1월 가동을 시작했다.



취임 후 처음으로 취재진 앞에 선 정 대표는 "DC 서버는 0.02초만 전력 공급이 중단 돼도 다운된다"며 "대한민국의 연결을 책임지는 카카오는 0.01초 찰나의 다운도 허락하지 않을 만큼 DC의 이중화와 재난 대응, 화재 시스템 설계, 가능한 모든 부분을 이중화해 24시간 중단 없는 운영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가 안산 DC를 건립한 이유는 회사의 중심 서비스인 카카오톡을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다. 카카오톡의 평균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4870만명이고 월평균 메시지 수 발신량은 100억건 이상이다. 대다수 국민이 매일 200건 이상 메시지를 주고받고 매초 4만5000건의 메시지가 발신되는 셈이다.



DC 안산 전산동 2층 배터리실/사진제공=카카오DC 안산 전산동 2층 배터리실/사진제공=카카오
2022년 10월 발생한 SK C&C DC 화재 사건으로 서비스 장애를 경험한 카카오는 안산 DC를 지으면서 자연재해 및 재난 대비 등 안전을 최우선으로 신경 썼다. 특히 화재 진압이 매우 어려운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에 대비해 대응시스템을 자체 개발 및 적용했다. 카카오는 이 시스템 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안산 DC 내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내부 감시 시스템이 자동 감지해 화재의 영향이 있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후 방염천 등으로 화재 전이를 막고 단계적으로 소화 약제를 분사해 초기 진화를 시도한다. 방수천을 올려 냉각수를 지속해서 분사해 발화 원천을 차단하고 어려운 경우 소방서와 연계해 진압한다.

아울러 지진 대응을 위해 국내 원자력발전소 기준에 준하는 리히터 6.5 이상 강진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적용했고 안산 지역 최대 풍속을 감안해 28㎧의 강풍도 견딜 수 있도록 대비했다.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해 지상 1층 바닥을 주변 지표면보다 약 1.8m가량 높이 설계했고 서버와 배터리, UPS(무정전전원장치) 등 주요 설비를 모두 지상층에 배치해 침수에도 대비했다.


정 대표는 "SK C&C DC 화재 사건은 뼈아픈 경험이지만 장애가 반복되지 않도록 철저히 원인을 분석하고 규명하게 됐다"며 "그 설계가 당시 건립 중이던 안산 DC에도 반영됐다. 데이터의 안전성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실제 경험에 기반한 사명감으로 부족한 점을 원점부터 재검토했고 설계 단계부터 지진이나 홍수, 태풍 및 해일 같은 자연재해를 고려했다"고 말했다.

DC 안산 전경/사진제공=카카오DC 안산 전경/사진제공=카카오
카카오는 SK C&C DC 화재 사건 당시 지적받았던 이중화 문제도 해결했다. △전력 공급 전 과정 △통신 제공 전 과정 △냉각 설비 등을 이중화하고 데이터와 운영 도구 등을 다중화했다. 무정전 전력망도 갖췄다. 전력 공급 중단에 대비하기 위해 주전력의 100% 용량에 해당하는 예비 전력망을 마련했다.

카카오는 자원 절약 차원에서 고효율 장비를 사용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열 재사용, 태양광 패널 설치 등으로 전력 사용을 최소화했다. 이런 노력으로 총에너지 사용량을 30% 감소시키고 연간 에너지 비용을 약 31억원 절감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간 30GWh(기가와트아워)의 전력을 절감해 탄소 배출량도 15%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카카오는 최근 연이어 발생한 카카오톡 장애는 안산 DC와 관계가 없다고 했다. 올해 1월 가동을 시작한 안산 DC는 현재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고 인프라성 장비와 플랫폼성 장비가 추가로 들어올 예정이다. 카카오는 이달 중으로 카카오톡 등 주요 서비스를 안산 DC에서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카카오의 서비스들이 전 국민의 일상을 실시간으로 연결중인 만큼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두고 어떠한 재해와 재난에도 멈추지 않는 안전한 데이터센터를 목표로 안산 DC를 만들었다"며 "앞으로 카카오가 선보일 새로운 서비스와 10년 뒤의 기술과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인프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