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신들 때까지 긴축 유지"…"긴축 완화 필요조건 충족" 의견도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2024.06.11 17:30
글자크기

한은, 5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가 23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진행된 가운데 이창용 한은 총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머니S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가 23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진행된 가운데 이창용 한은 총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머니S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한 금통위원은 "물가 측면에서 볼 때 긴축 완화를 위한 필요조건이 충족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대다수의 위원들은 물가 상방압력을 경계하면서 금리인하 피봇(pivot·정책기조 전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긴축 완화 필요조건 점차 충족"…경계감 늦추긴 어려워
한국은행이 11일 공개한 '2024년 제10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5월23일 개최)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통화정책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물가 측면에서는 긴축 완화를 위한 필요조건이 점차 충족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2%대로 진입하고 근원물가 상승률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유가 급등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긴축 완화의 위험은 감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예상보다 강한 실물경제 호조세가 지속되는 경우 물가 상방압력이 증가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태"라며 "경제흐름을 추가 확인한 후 통화정책 긴축 완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3일 열린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는 금통위원 6인의 만장일치로 기준금리(3.5%) 동결이 결정됐다. 이날 회의에서 금통위원들은 국내외 경제·금융 여건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입을 모았다. 물가가 목표치(2%)에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한 위원은 "소비자물가는 전망 경로에 부합하는 둔화세를 보이고 현재로서는 내년 하반기에 목표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등으로 물가 경로의 상방리스크는 증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경계감을 늦추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위원은 "나라별로 경제 회복 속도와 물가상승률이 차별화된 양상을 보이면서 정책금리도 다양한 경로를 보인다"며 "헤드라인 물가상승률은 일시적 반등이 거듭돼 목표 수준인 2%에 이르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안착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물가 흐름뿐 아니라 주요국의 통화정책 방향과 내수·수출간 균형 회복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 위원은 "앞으로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통화정책 결정 방향 등 대외 변수의 변화, 물가 흐름, 내수와 수출간 균형 회복 등을 주요 변수로 고려해 기준금리 경로를 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보다 먼저 내릴 가능성 배제 못해"…'부문별 실시간 경제전망' 모형 개발
외환·국제금융시장 동향 보고 중에서는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한 위원은 유로지역 등 주요국이 미국에 앞서 선제적으로 정책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고 우리나라도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 경우 원/달러 환율이 크게 변동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를 함께 언급했다.

다른 위원도 만약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먼저 정책금리를 인하할 경우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이 우려스럽다며 최근 금리를 내린 스웨덴의 크로나화 강세에 대해 담당 부서에 질의했다.

한편 한은은 보다 정확한 경제 상황 판단을 위해 '부문별 실시간 경제전망(nowcasting)' 모형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금통위원은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을 크게 상회하면서 여러 기관에서 선행지표를 개발하는 등 정확한 경기 판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한은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질의했다.

이에 대해 관련 부서 관계자는 "온라인 거래 등 고빈도 자료 확충과 소비 등 부문별 실시간 경제전망 모형 개발을 계획해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