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영상 "CDMA 상용화로 새긴 개척자 DNA…AI로 잇는다"

머니투데이 배한님 기자 2024.06.10 16:38
글자크기

SKT, CDMA 상용화로 IEEE 마일스톤 등재…한국 최초
상용화 동참한 ETRI·삼성전자·LG전자 함께 등재
SK 통신사업 진출 특혜 지적에 "노력·성과 폄훼되는 것 같아 안타까워"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10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T타워에서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의 SK텔레콤 IEEE 마일스톤 선정을 기념 현판 제막을 앞두고 선정 소감을 말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10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T타워에서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의 SK텔레콤 IEEE 마일스톤 선정을 기념 현판 제막을 앞두고 선정 소감을 말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SK텔레콤 (51,500원 ▲100 +0.19%)이 국내 기업 최초로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가 선정하는 'IEEE 마일스톤' 기업에 등재됐다. IEEE 마일스톤은 글로벌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1996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대규모 상용화 공로를 인정받은 것으로, SK텔레콤과 함께 CDMA 상용화를 이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삼성전자 ·LG전자도 같이 이름을 올렸다.

SK텔레콤은 10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IEEE 마일스톤 수여식을 열었다. 이날 수여식에서 SKT타워 외벽에 설치된 IEEE 마일스톤 현판이 공개됐다. 현판에는 대한민국 CDMA 상용화 주역인 SK텔레콤·ETRI·삼성전자·LG전자의 사명과 산업에 기여한 성과 등이 기재됐다.



IEEE는 1884년 토머스 에디슨과 그레이엄 벨 주도로 창설된 전기·전자공학분야 세계 최대 학회다. IEEE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전기 연구(1751년)·최초의 무선 라디오 방송(1906년) 등 인류 사회와 산업 발전에 공헌한 역사적 업적을 남긴 사람 또는 기업에 'IEEE 마일스톤'을 시상한다. CDMA 상용화는 256번째 IEEE 마일스톤 등재 업적이다.

SK텔레콤·ETRI·삼성전자·LG전자는 1990년대 이동통신의 수요 폭증에 대응해 통화용량을 아날로그 방식보다 10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상용화에 성공했다.



당시 세계 다른 나라들은 시분할 방식인 TDMA를 주로 도입했지만, 한국은 더 많은 용량을 전송할 수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CDMA 상용화에 도전했다. 당시 정부는 ETRI가 퀄컴과 협력해 국내 도입한 CDMA 기술을 기반으로 SK텔레콤(당시 한국이동통신) 산하에 '이동통신기술개발사업관리단'을 출범시켰다. 이후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단말 제조사들이 협력해 CDMA를 국가 표준으로 단일화하고 1996년 1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수 있었다.

유 사장은 IEEE 마일스톤 수여식에서 "90년대 초 CDMA는 상용 기술로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누구도 성공 여부를 확신하지 못했지만, 정부의 선도적 정책 아래 ETRI·삼성전자·엘지전자와 협력해 상용화 결실을 맺었다"며 "CDMA 상용화 이후 우리 삶은 크게 달라져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이동통신 서비스를 쉽게 누릴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수여식에 참석한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도 "당시 학계는 물론 업계의 불신도 컸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멀티미디어 전송량이 급증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1989년부터 1996년까지 7년간 정부와 기업이 1000억원 넘는 연구개발비를 투입해 CDMA를 개발했다"면서 "대한민국은 단숨에 이동통신 기술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나아가 세계 이동통신 산업 최강자로 도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CDMA는 미국·캐나다·아시아·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확산됐고, 3G 기술의 기반이 됐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CDMA 상용화 성과를 발판 삼아 AI(인공지능)·6G 등 차세대 기술로 글로벌 ICT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유 사장은 "오늘날 우리는 AI라는 혁신 기술로 인해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며 "과거 CDMA 상용화가 그랬듯 SK텔레콤이 나아가고자 하는 글로벌 AI(인공지능) 컴퍼니의 길 또한 통신회사 그 누구도 가본 적 없는 길이지만,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과정에서 우리에게 새겨진 DNA로 당면한 과제를 헤쳐 나가겠다"고 했다.

그는 대한민국의 ICT 산업이 CDMA 세계 최초 상용화를 계기로 통신과 반도체, 그리고 AI까지 발전하고 있는데, 그 계기가 된 CDMA를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점이 영광스럽다"며 "CDMA 상용화를 시작으로 제2, 3의 IEEE 마일스톤 등재 사례가 지속적으로 나오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수여식이 끝난 후 기자들을 만난 유 사장은 SK의 이동통신 사업 진출이 특혜가 아닌 정당한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간 이혼 소송에서 나온 "(SK가) 이동통신 사업 진출 과정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이 방패막이 역할을 했다"는 판결에 정면 반박한 것이다.

유 사장은 "SK텔레콤은 올해 40주년을 맞았고, CDMA 세계 최초 상용화 등 우리의 노력과 이룬 성과가 있는데, (이것이) 폄훼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우리는 특혜가 아니라 정당한 방식으로 이동통신 사업에 진출했고, 경영을 잘해 오늘날 이 상황까지 온 부분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TOP